자녀 사랑하기 뉴스레터 2호 – 자녀의 건강한 정서행동발달을 위해서 |
|||||||
---|---|---|---|---|---|---|---|
작성자 | 안은주 | 등록일 | 18.04.02 | 조회수 | 179 | ||
첨부파일 |
|
||||||
부모님이 자녀의 감정을 예민하게 잘 반응하고 공감해 주면 자녀는 자신의 기분을 더 잘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말로 자녀의 감정을 읽어주면 자녀는 다양한 기분과 감정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감정을 표현하는지를 잘 가르쳐 주면 자녀는 떼쓰고 우는 것이 아니라 말로 세련되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정서 조절을 제대로 배우지 못 하면 또래 관계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자녀의 기질, 부모의 양육 방식, 집안 분위기에 따라 정서 발달 상태는 다릅니다. 자녀는 부모의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을 그대로 배우게 됩니다. 자주 자녀에게 기분을 물어주시고, 자녀가 표현을 잘 하지 못할 경우에는 자녀의 감정을 부모님이 먼저 공감하셔서 읽어 주세요. 슬프고 불안하고 화가 나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도 잘 표현하도록 격려합니다. 불편하거나 부정적인 기분이나 행동을 조절하기 위한 인지적 방법을 가르쳐주세요. - ADHD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은 소아 청소년 시기에 시작되며 잘 치료되지 않으면 성장 - 이러한 소아 청소년은 다양한 정서행동 문제를 보이며 일상적인 교육과 양육으로 회복되지 - 다행히도 조기 발견과 조기 개입으로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교육부는 매년 4월경 전국의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를 - 초등학생의 경우 1,4학년 학생의 부모님께서 컴퓨터를 사용해 설문에 대답하는 방식으로 - 만일 검사 결과가 관심군으로 나온다면, 기준점수보다 높게 평가되었다는 의미로 자녀가 - 검사 결과는 외부에 공개되거나 학생부와 건강 기록부에 남지 않으며 학교생활에 불리하게 |
이전글 | 2018학년도 1학기 발명교육센터 발명특별과정 및 학부모 발명교육과정 안내 |
---|---|
다음글 | 「서신골 별별마켓」 개장 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