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 단계 | 평상시 | ◾ 감염병 유행 여부 감시(수동 감시 체계 운영) ◾ 개인위생(손 씻기, 기침예절) 상시 교육 및 교실소독 ◾ 마스크 착용(기침, 발열) | 대응 1단계 (감염병 유증상자발견) | 감염병 유증상자 발생 (진단 전) | 담임교사 | ➜ 담임과 함께 일시적관찰실 로 이동 | 보건교사 | | | ◾ 보호자 연락(병원,등교중지) ◾ 감염병 물품 수령 ◾ 교실 환기, 소독 ◾ 마스크 착용(발열,기침) ◾ 감염병 예방 교육 | ◾ 감염병 환자 발견, 관찰 (일시적 관찰실) ◾ 감염병 증상 여부 확인 ◾ 마스크 착용 확인 ◾ 감염병 예방 교육 안내 |
◉ 감염병 대유행 시 일시적 관찰실은 보건실 외 별도로 운영: 안전교실 | 대응 2단계 (감염병 유행여부 확인) | 감염병 확진 환자 발생 (병원 진단) | 교무부장 | | 담임교사 | | 보건교사 | | | | ◾ 능동감시체계 운영 감염병 의심환자 적극적 파악 대응 | | ◾ 환자 관리 ◾ 유증상자 확인 ◾ 교실 환기, 소독 ◾ 감염병 예방 교육 | | ◾ 감염병 보고 ◾ 환자/유증상자 관리 ◾ 유행여부 감시 ◾ 감염병 예방 교육 |
| 대응 3단계 (학교내 유행 확산) | 추가 환자 발생 (동일 질병 2명 이상) | ◉ 학생 감염병 관리 조직 운영 발생감시팀 | | 예방관리팀 | | 학사관리팀 | | 행정지원팀 | | | | | | | | - 학년부장(총괄) -담임교사,교과교사 | | -보건교사(총괄) -담임교사 | | -교무부장(총괄) -연구,담임교사 | | -행정실장 (총괄) -행정실 직원 | | | | | | | | 환자 관리 유증상자 확인 밀접접촉자 파악 교실 환기, 소독 감염병 예방 교육 | | 환자,접촉자 관리 밀접접촉자 관리 감염병 예방 활동 고위험군 관리 발생현황 보고 역학조사 협조 | | 학생 출결 관리 수업결손 대책수립 등교중지 학생의 가정학습과 생활관리 학부모 대상 교육 | | 교내 방역 소독 위생시설 관리 예산 ,행정지원 |
◾ 교감 : 대책 논의, 대외 홍보, 언론 및 민원 관리 ◾ 교장 : 각종 행사 제한 및 휴업/휴교 검토(보건소와 협의) | 복구 단계 (유행종결 및 복구) | 기존 환자 완치 추가 미 발생 | ◾ 보건교사 : 감염병 종료 보고 ◾ 담임교사 : 감염병 추가 발생 유무 지속 관리 ◾ 교감, 교장 : 학생 감염병 관리 조직 대응 활동 종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