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하지마’ 보다는 ‘~을 멈추고, ~했으면 좋겠다’라는 식의 긍정적 표현을 사용하여 해결방안을 함께 제시하여 주세요. 5) 다음과 같은 메시지 전달법이 좋습니다. 네가 연락도 없이 늦게 들어오면 - 문제행동 엄마는 걱정된다. - 감정전달 왜냐하면 혹시 무슨 일이 생겼을 수도 있으니까 - 정당한 이유 늦는 경우에는 연락을 했으면 좋겠어. - 의사전달 5. 문제 행동을 보이는 경우 일단 그 행동에 대한 의견을 물어봅니다. 자녀의 행동에 대한 나름의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미리 짐작하여 혼내기보다는 혼내기 전에 행동의 의도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밤 12시인데 아직도 컴퓨터를 하고 있니? 당장 꺼! (X) 늦은 시각인데 컴퓨터를 하고 있구나. 무엇 때문인지 말해 줄 수 있니? (O)
6. 감정적인 반응과 체벌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1) 청소년기의 뇌는 미성숙하기 때문에 행동 조절이 안 되거나 규칙을 지키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마시고 먼저 크게 심호흡을 한 번 하세요. 2) 체벌은 문제 행동을 교정하는 것에 효과가 없습니다. 3) 체벌을 당하면 자녀는 공포와 분노로 인하여 생각이 정지됩니다. 정작 자신이 어떤 잘못된 행동을 했고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생각하지 못합니다. 4) 체벌을 경험하면 자녀는 폭력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게 되며 폭력적인 해결을 하게 됩니다 7. 이렇게 대화해 주세요. 자?녀 : 오늘 시험을 봤는데 망쳤어요. 부모 : 속상하지? (공감하기) 자녀 : 내가 너무 긴장을 해서 아는 것도 많이 틀렸어요. 부모 : 긴장만 안했어도 더 잘 볼 수 있었는데 속상하겠다. (반응 보여주기) 자녀 : 이번 시험은 지난번보다 더 많이 공부했어요. 그런데 시험문제를 받아보니 너무 떨렸어요. 부모 : 더 많이 공부했는데 긴장하는 바람에 점수를 잘 못 받았구나. 엄마는 그래도 네가 지난 시험보다 더 노력한 것을 칭찬하고 싶어. (정리하기)
2020년 7월 17일 전 주 평 화 중 학 교 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