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평화중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학교상담실 7호 -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방법
작성자 오희제 등록일 20.07.16 조회수 231
첨부파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학교상징.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6pixel, 세로 150pixel     

목표가 나를 이끈다.

가정통신 2020-48

Wee클래스

070-8795-8230

2020. 7.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방법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 방법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개학이 늦어지고 온라인 개학과 부분적으로 등교하는 오프라인 개학으로 인해 집에서 자녀들과 함께 지내는 시간이 많아졌습니다. 부모님의 스트레스도 늘어나면서 자녀들의 잘못이 더 눈에 띄게 되어 목소리가 높아지기도 합니다. 특히 청소년기 자녀와 대화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반항적이고 부모님 말을 무시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많은 부모님들은 청소년기 자녀와의 대화를 어려워하고 자녀들도 부모님과의 대화를 피하기도 합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자녀가 부모와 편안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의사소통의 기술을 소개합니다.

 

1. 자녀와의 소통은 자녀의 이야기를 경청해주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갑자기 자녀의 말을 끊고 자녀의 행동에 대하여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녀의 감정에 공감하면서 고개를 끄덕이기도 하는 등 자녀의 말을 잘 듣고 있다는 것을 자녀가 느낄 수 있도록 해주세요. 또한 부모님께서 자녀가 자신의 생각, 감정, 행동의 이유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도록 부드럽게 질문으로 이끌어주시면 더욱 좋습니다. ‘?’ 라는 질문이 잘못하면 비난하는 말투로 들릴 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또는 이유가 있니?’ 라는 말로 부드럽게 질문하실 수 있습니다.


정말? 그랬구나. 엄마(아빠)한테 더 얘기해 주겠니?”

친구와 그런 일이 있었구나. 너의 느낌(기분)은 어땠니?”

네가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줄 몰랐어. 어떻게 그 생각을 하게 되었니?” 

 

2. 자녀의 이야기를 정리해 줍니다.

자녀가 이야기를 하다보면 순서 또는 상황이나 감정이 뒤섞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차분하게 내용을 순서대로 정리해준다면 자녀도 자신의 입장을 좀 더 객관적으로 보면서 부모님과 대화할 수 있게 됩니다.

 

3. 자녀의 생각과 감정을 듣고 공감을 표현한 뒤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합니다.

자녀의 말을 먼저 들어주면서 부모님께서 자녀를 존중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님께서 자녀를 공감해주면 자녀는 기분이 풀린 상태에서 부모님의 말에 귀 기울일 수 있습니다.

 

4. 자녀의 영역과 자존감을 존중해 주세요.

1) 허락 없이 자녀의 물건에 손을 대거나 일방적으로 결정하지 않습니다.

2) 다른 사람 앞에서 자녀를 공격하거나 비난하는 말이나 행동은 삼가해주세요.

3) 자녀를 무시하거나 다른 아이와 비교하는 말이나 행동은 피해주세요.


너는 왜 그 모양이니? (X)

너는 어떻게 동생만도 못하니? (X)

 

4) ‘~하지마보다는 ‘~을 멈추고, ~했으면 좋겠다라는 식의 긍정적 표현을 사용하여 해결방안을 함께 제시하여 주세요.

5) 다음과 같은 메시지 전달법이 좋습니다.

 

네가 연락도 없이 늦게 들어오면 - 문제행동

엄마는 걱정된다. - 감정전달

왜냐하면 혹시 무슨 일이 생겼을 수도 있으니까 - 정당한 이유

늦는 경우에는 연락을 했으면 좋겠어. - 의사전달

 

5. 문제 행동을 보이는 경우 일단 그 행동에 대한 의견을 물어봅니다.

자녀의 행동에 대한 나름의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미리 짐작하여 혼내기보다는 혼내기 전에 행동의 의도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2시인데 아직도 컴퓨터를 하고 있니? 당장 꺼! (X)

늦은 시각인데 컴퓨터를 하고 있구나. 무엇 때문인지 말해 줄 수 있니? (O)

 

6. 감정적인 반응과 체벌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1) 소년기의 뇌는 미성숙하기 때문에 행동 조절이 안 되거나 규칙을 지키기 어려울 수 있습.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마시고 먼저 크게 심호흡을 한 번 하세요.

2) 체벌은 문제 행동을 교정하는 것에 효과가 없습니다.

3) 체벌을 당하면 자녀는 공포와 분노로 인하여 생각이 정지됩니다. 정작 자신이 어떤 잘못된 행동을 고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생각하지 못합니다.

4) 벌을 경험하면 자녀는 폭력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게 되며 폭력적인 해결을 게 됩니다

 

7. 이렇게 대화해 주세요.

 

: 오늘 시험을 봤는데 망쳤어요.

부모 : 속상하지? (공감하기)

자녀 : 내가 너무 긴장을 해서 아는 것도 많이 틀렸어요.

부모 : 긴장만 안했어도 더 잘 볼 수 있었는데 속상하겠다. (반응 보여주기)

자녀 : 이번 시험은 지난번보다 더 많이 공부했어요.

그런데 시험문제를 받아보니 너무 떨렸어요.

부모 : 더 많이 공부했는데 긴장하는 바람에 점수를 잘 못 받았구나.

엄마는 그래도 네가 지난 시험보다 더 노력한 것을 칭찬하고 싶어. (정리하기)

 

2020717

   

전 주 평 화 중 학 교 장 

 

이전글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시행 안내
다음글 [7월 3째주] 코로나 19대응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