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중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9월 영양소식 및 식단 안내
작성자 황향숙 등록일 17.08.29 조회수 190
첨부파일

< 절기 이야기 >

백 로 (97)

백로는 흰 이슬이라는 뜻으로 이때쯤이면 밤의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는 데서 유래한다. 가을의 기운이 완연히 나타나는 시기로 장마가 걷힌 후여서 맑은 날씨가 계속된다. 하지만 간혹 남쪽에서 불어오는 태풍과 해일로 곡식의 피해를 겪기도 한다.

추 분 (923)

 

추분에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므로 이날을 계절의 분기점으로 의식한다. 곧 추분이 지나면 점차 밤이 길어지기 때문에 여름이 가고 가을이 왔음을 실감하게 된다. 추분에는 벼락이 사라지고 벌레는 땅속으로 숨고 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또 태풍이 부는 때이기도 하다.

 

추 석 (104)

설과 단오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명절.
추석은 음력 815일을 말하며 한가위, 가배일(嘉俳日), 중추절 또는 중추가절이라고 한다. ''이라는 말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옛말이다. 그러므로 한가위란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추석에는 추석빔을 입고 햅쌀로 술송편을 빚고, 햇과일을 마련하여 가묘(家廟)에 모신 조상 앞에 차례(茶禮)를 지내며, 조상의 산소에 성묘(省墓)한다. 산소에 우거진 잡초는 추석 전날 베는 것이 상례(常例)이나 성묘 때 베는 것도 무방한데 이것을 벌초(伐草)라 한다. 또한 이 날은 술송편과일 등을 나누어 먹고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추며 즐겁게 논다.

 

송편의 의미

 

추석 때 제일 먼저 수확한 햅쌀과 햇곡식으로 빚는 송편은 한 해의 수확을 감사하며 조상의 차례상 등에 올리던 명절 떡이다.

송편은 반달 모양이지만 송편 안에 소를 넣고 접기 전에는 온달 모양이다. 달의 생성숙성소멸 단계처럼 곡식도 생성되고 숙성되므로 송편을 달의 열매로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9월식단과 알레르기 정보는 첨부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2017학년도 테마식현장체험학습 참가 희망 조사
다음글 호연지기 함양을 위한 사제동행 체험프로그램 운영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