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중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4월 영양소식
작성자 황향숙 등록일 17.03.28 조회수 239
첨부파일

식중독이란...

 

우리는 흔히 식중독을 여름에 발생하는 질병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상 기온상승이 시작되는 45월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답니다.

그럼, 식중독 예방법을 알아볼까요?

1. 식중독의 원인과 증상

살모넬라균: 김밥, , 유제품 등이 원인

섭취 당일 복통, 설사, 발열, 구토 증세를 보임

황색포도상구균: 도시락, 곡류가공품 등이 원인 섭취 후 3시간 전후에 구토, 설사, 복통, 발열 증세를 보임

장염비브리오균: 생선회, 어패류, 초밥 등이 원인

섭취 후 1018시간 내에 급성 위장염, 복통, 설사, 구토 증세를 보임

식중독은 음식물을 부적정한 온도에서 장시간 보관하거나 오염된 식품원료, 기구·용기 및 조리 기구를 사용하거나 개인의 비위생적인 습관이나 손 씻기 소홀 등 개인위생관리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2. 식중독의 예방

상온에서 장시간 보관된 도시락 등 음식물을 섭취해서는 안 됩니다.

음식물은 70이상으로 가열, 조리해야 하며 조리한 식품은 신속히 섭취하고 조리한 식품은 반드시 냉장 보관합니다.

보관했던 조리식품은 재 가열하여 섭취해야 하고 조리한 식품과 조리전의 날 식품이 접촉되면 조리된 식품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서로 섞이지 않게 합니다.

무엇보다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식중독 예방 3대 원칙

청결의 원칙 - 청결한 손, 청결한 재료, 청결한 조리기구 등 청결이 가장 중요하다.

신속의 원칙 - 원료(재료)를 구입하여 신속히 조리하거나 식품을 조리 하였을 때 장시간 방치 하지 말고 신속히 섭취하여야 한다.

냉각 또는 가열의 원칙 - 식중독균은 일반적으로 5이하 또는 60이상의 온도에 생육이 억 제되므로 냉각하거나 가열하여야 안전하다.


4월 식단은 첨부파일 참고 바랍니다.

이전글 신입생 교복 구매비 납부 안내
다음글 2017년 ‘내 마음의 선생님’ 사례 공모 참여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