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중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5월 보건소식지(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바로알기 Q&A)
작성자 송미정 등록일 21.05.17 조회수 91
첨부파일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바로알기 Q&A>

 

Q1. 왜 12세 여성 청소년에게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을 권장하는 건가요?

☞ 자궁경부암 백신은 성인 연령에서 보다 어린 청소년에서 예방접종을 할 경우 면역력이 더 높게 나타나고, 성접촉이 발생하기 전 2회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자궁경부암 예방에 최적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 자궁경부암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이 주된 원인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3천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900명 이상이 사망하는 치명적인 암 중의 하나입니다.

 * OECD 34개국 중 29개 국가에서 이미 자궁경부암 백신을 국가예방접종으로 도입하였습니다.

Q2. 자궁경부암 백신은 안전한가요?

☞ 자궁경부암 백신은 전세계 65개 국가에서 암 예방을 목적으로 현재까지 2억건 이상 안전하게 접종된 백신이며,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 이후 약 260만명(790만 건)이 특별한 이상반응 없이 접종을 잘 마쳤습니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에서 수집된 안전성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을 중단할 만큼 안전성 우려는 없으며 여전히 안전하다고 반복적으로 발표하였습니다.

Q3.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후 발생하는 이상반응은 타 영유아 백신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 자궁경부암 백신의 이상반응으로는 접종부위의 통증*, 부종, 발적, 두드러기 같은 국소반응과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등 전신반응이 있으며, 이런 증상은 보통 2~3일 내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됩니다. 매우 드물게 심한 알레르기(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자궁경부암 백신은 타백신에 비해 접종부위 통증 빈도가 높은 편

☞ 일부 청소년은 접종부위 통증이나 심한 긴장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정신을 잃고 넘어질 수 있지만, 이는 다른 예방접종 후에도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고 충분히 예방 가능합니다. 낙상을 예방하고, 급성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관찰을 위해서 예방접종 후 20~30분간 의료기관에 앉아 있거나 누워있어야 합니다.

Q4. 뉴스를 보면 일본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있었다던데 사실인가요?

☞ 일본 후생노동성은 2013년 자국에서 발생한 복합부위통증 등의 이상사례에 대해 접종 대상자의 심리적 불안과 긴장에 의한 것으로 잠정결론을 내렸습니다(2014년 2월,7월).


☞ 일본 이외에 자궁경부암 백신을 도입한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는 현재까지 특별한 안전성 문제없이 국가예방접종사업을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일본에서도 여전히 무료예방접종 지원을 하고 있음).
 
 * 백신으로 인하여 보행장애, 난소부전 같은 증상이 나타났다는 SNS글은 과학적인 사실과 다른 이야기입니다. 세계보건기구 및 해당 국가들(뉴질랜드, 미국 등)에서는 그 사례들이 예방접종과 관련이 없다고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Q5. 혹시 모를 이상반응 발생에 대비해서 국가가 마련하고 있는 대응책에는 무엇이 있나요?

☞ 질병관리본부는 이상반응 신고체계를 통해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을 감시하고 중증이상반응에 대해서는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불가피한 이상반응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을 때에는 심의를 거쳐 백신과의 인과성이 인정되는 경우 보상해주는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를 운영하는 등 예방접종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이 의심되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으시고, 보건소 또는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https://nip.cdc.go.kr)를 통해 적극적으로 신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6월 보건소식지
다음글 코로나19 자가격리자를 위한 생활수칙 등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