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만수초등학교 로고이미지

상담소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우리 아이 칭찬 어떻게 해야 할까?
작성자 박숙영 등록일 20.06.04 조회수 91

우리 아이 칭찬 어떻게 해야할까?


아이의 긍정적 정서발달을 위한 방법 중 너무나 쉽게 간과해버리게 되는 것은 ‘칭찬’입니다.
칭찬을 우리 아이에게 하려니 표현이 서툴러 민망한 상황에 놓이기도 하거나 또는 주변에서 아이에 대한 칭찬에 인색하다는 소리를 들으면 당황스럽고 억울한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또한 언어적 표현이 어렵다면 미소와 같은 표정, 부드러운 말투, 머리 쓰다듬기와 같은 비언어적표현이 아이와의 정서적 교감과 공감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칭찬, 제대로 해주고 싶은데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할까요?


step 1) 아이의 행동 읽어주기
칭찬에서 기본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우리 ㅇㅇ이가 찰흙을 차곡차곡 쌓았구나', '우리 ㅇㅇ이가 여기에 분홍색을 칠했구나' 등 아이의 행동자체를 읽어주시고 그저 '그렇구나~'해주시는 것입니다. 아이는 자신의 행동을 알아주는 것만으로도 자신의 행동이나 생각에 대해서 인정받았다는 느낌을 받아 칭찬으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step 2) 구체적으로 칭찬하기
아이의 행동을 읽어주는 과정에서 우리 아이에 대한 관찰과 객관화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아이 행동에 대한 양육자의 구체적인 언급을 통해 아이의 발달과정에서 '아 이렇게 하는 것이 잘한 것이구나','이 행동에 대해서 칭찬을 받았네, 앞으로 이렇게 하면 되는 구나' 등의 아이가 자신의 행동 습관이나 가치관 형성의 방향을 찾아가는데 도움을 줍니다.


step 3) 과정집중형 칭찬하기
과정집중형 칭찬은 아이로 하여금 아이가 과정속에서 고민하고 성실하게 임했음에 대한 칭찬으로 결과에 상관없이 나의 일에 대한 책임과 성실함에 대해서 긍정성을 얻습니다. 이에 따라 아이는 어떤 일을 함에 있어 스스로 동기부여를 주고 주도성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출처: 네이버 포스트 김동철심리케어연구소 [아동청소년심리]


우리 아이와 진정으로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첫 걸음이 중요한 만큼 아이의 발달과정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칭찬 멈출 수 없는 사랑의 표현입니다.


이전글 2020학년도 여름방학 기간 학생 상담 지원망 안내
다음글 전주교육지원청 위센터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심리치유 작품 공모전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