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42호 자녀사랑하기 6호 (자살과 자해로부터 아이를 지키는 마음) |
||||||||||||||||||||
---|---|---|---|---|---|---|---|---|---|---|---|---|---|---|---|---|---|---|---|---|
작성자 | 군산내흥초 | 등록일 | 19.09.02 | 조회수 | 342 | |||||||||||||||
자녀 사랑하기 제 6호 자살과 자해로부터 아이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4가지 마음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SNS상에 자해 인증사진을 올리는 것이 유행으로 번져 많은 학부모님과 선생님들의 우려를 사는 일이 있었습니다.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11.5%의 학생은 자살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고 2.4%는 자살을 시도하였다고 하지요. 그만큼 예전부터도 있었던 일이지만 최근에 부쩍 청소년 자해환자들이 늘게 된 것입니다. 이번엔 자살이나 자해의 위험에서 아이를 지켜낼 마음 4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죽고 싶다는 말을 한다는 건 아이가 본인의 괴로움을 알아주길 바라는 간절한 외침일 수 있습니다. 가볍게 넘기지 말고 아이에게 도움을 건네야 합니다. 덧붙여, 죽음에 대한 개념이 확립되는 시기는 만 10세 경입니다. 이 전에 아이가 죽고 싶다는 말을 할 때는 실제로 죽음의 개념을 알고 하는 말이기보다는 그만큼 너무 힘들다는 호소일 수 있습니다.
? 죽음을 생각하는 아이들의 증후 ? 1) 식사와 수면 습관이 변합니다. 식사를 잘하지 못하거나 잠을 잘 자지 못합니다. 2) 짜증이 늘어나고 침울하고 우울하게 보입니다. 3) 두통, 복통, 소화불량 등 신체 증상을 호소합니다. 4) 일기장이나 SNS에서 죽고 싶다는 표현을 하기도 합니다. 5) 지각, 등교 거부 등 평상시 해오던 일상 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합니다. 6) 집에서 대화를 거부하고 무기력하게 누워만 있을 수 있습니다. 7) 반항적이고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스스로 신체에 상처를 입히는 행동을 보입니다. 8) 사후 세계를 동경하거나 갑자기 여행을 떠나려고 합니다. 9) 자기 주변을 정리하고 평소 아끼던 소유물을 다른 사람들에게 나누어 줍니다.
? 자해 행동의 의미 ? 1) 자신의 힘든 처지를 가족이나 친구 혹은 주변 사람들에게 알리고 싶은 하나의 신호 2) 자신의 분노나 화를 방출하거나 표출하는 방법 3) 자신의 우울함이나 불안, 짜증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일시적으로 해소하는 분출구
자해를 하면 일시적으로 뇌에 도파민이나 엔도르핀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증가해서 쾌감을 느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습관적이고 만성적으로 될 위험성이 있지요. 하지만 자해가 위험하다고 해서 아이를 비난하며 책망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일단은 아이가 자해한 이유와 최근 겪고 있는 어려움에 관해서 판단이나 비난 없이 들어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죽음에 대해서 이야기하거나 자해를 할 때 도와줄 수 있는 구체적인 행동들 ?
2019년 9월 군산내흥초등학교장
|
이전글 | 2019-43호 학교 야영 안내장 |
---|---|
다음글 | 추석 연휴 기간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여성가족부) 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