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구암초등학교 로고이미지

영양정보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김치의 역사에 대해
작성자 진은숙 등록일 17.10.20 조회수 112

1. 우리의 전통식품 김치

김치는 우리나라 고유의 대표적인 일상 식품입니다. 사계절이 뚜렷한 기후적인 특성 때문에 신선한 채소를 먹을 수 없었던 겨울철에 대비하여 개발된 우리 고유의 전통 식품이기도 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기호에 맞게 지역과 계절 또는 가정별로 오랜 세월 동안 발전해온 것입니다. 김치는 배추나 무, 각종 채소류에 향신료를 첨가하고 식염과 젓갈로 젖산을 발효시킨 음식입니다.

인류가 농경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주식이 된 곡물의 영양 균형을 위해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채소를 먹게 되었고, 겨울에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김치를 만들어 먹게 되었습니다.

 

2. 김치에 고춧가루의 이용 시기

초기의 김치는 단순한 채소절임이었으나 12세기 무렵 향신채류를 가미한 김치가 생겨났습니다. 16세기 일본에서 도입된 고추가 18세기에 김치에 본격적으로 이용되면서 지금의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3. 김치의 어원

채소의 소금절임을 의미하는 침채(沈菜)가 오랜 세월을 거치는 동안 딤채 김채 김치로 변화하면서 현재의 김치로 정착되었다고 합니다.

 

4. 우리의 전통 음식 김치 이래서 좋아요!

. 비타민이 풍부해요. : 비타민 A, B, C 등을 비롯하여 부재료인 녹황색 채소가 다양한 영양 성분을 공급합니다. 고추의 비타민 C는 사과보다 37, 귤보다 7배나 많습니다.

. 인체에 좋은 저칼로리 식품 : 식이성 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장의 활동을 활성화하고 체내의 당류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 유산균이 들어 있어 장운동을 도와줘요. : 김치가 익어감에 따라 증가하는 유산균은 유해균의 생육을 억제, 사멸시키는 정장작용을 합니다.

 

5. 주요김치의 영양

영양소

열량

수분

단백질

지질

당질

회분

칼슘

비타민A

B1

B2

C

(단위)

Kcal

%

g

g

g

g

g

I.U.

mg

mg

mg

배추김치

19

88.4

2.0

0.6

1.3

0.5

28

492

0.03

0.06

12

동치미

31

87.0

2.7

0.8

3.2

0.7

5

946

0.03

0.06

10

깍두기

9

93.6

0.7

0.2

1.1

0.2

1

0

0.01

0.03

7

 

 

   

이전글 비 만
다음글 감기를 이기는 6가지 식품 속 영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