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구암초등학교 로고이미지

영양정보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우리 전통식문화, 우리가 지킵니다.
작성자 진은숙 등록일 17.09.07 조회수 113

1. 우리 농산물을 이용하면 무엇이 좋을까요?

우리나라 사람의 체질에 맞아(신토불이) 건강에 좋습니다.

유통기간이 짧아 신선한 것을 먹을 수 있고, 영양소 파괴가 적습니다.

우리 농민을 보호하고 농업을 육성하여 국가 경제에 이롭습니다.

 

2. 절기 음식

절 기

날짜(음력)

음 식

의 미

설날

11

떡국, 강정류

새해를 맞이한 첫날

정월대보름

115

오곡밥, 복쌈, 9가지나물

달이 가득 찬 날

중화절-노비일

21

송편

농사 시작일(노비에게 송편을 내려 위로함)

중삼절-삼짇날

33

탕평채, 진달래화전

봄이 시작되는 날(강남 간 제비가 돌아오는 날)

단오절

55

수리취떡, 제호탕

농경의 풍작을 기원하는 제삿날

유두절식

615

떡수단, 편수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재앙을 막는 날

삼복-,,

7 8월 중

육개장, 칼국수

여름 한더위 중 가장 더운 날

칠월칠석

77

밀전병, 개피떡

견우와 직녀 두별이 일 년에 한 번씩 만나는 날

한가위

815

햇과일, 토란탕, 송편

한해 농사의 결실을 주신 조상님께 감사드리는 날

중량절(중구)

99

국화전, 메밀만두

삼짇날 온 제비가 강남으로 떠나는 날

상 달

10월중

팥시루떡, 신선로

시루떡으로 말이 잘 크고 무병하길 빌어주는 날

동 지

1222()

팥죽, 제육

밤이 가장 긴 날(팥죽으로 병과 귀신을 쫓음)

대회일(제야)

1230

잡과병, 비빔밥

한 해를 보내는 마지막 날



3. 궁중 음식
  궁중음식이란 옛날 궁중에서 장만하던 음식을 말하는데 우리나라는 의례를 중히 여겨, 이에 따르는 특별한 음식도 많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왕가의 음식과 그 제도가 우리민족의 음식을 대표할 만큼 다채로웠다고 합니다. 궁중에서는 음식을 한곳에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중전, 대비전, 세자빈의 전각 등 각 전각마다 주방 상궁이 딸려서 각각 음식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이러한 궁중의 식생활 풍속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국가에서는 1971년 조선조의 궁중음식을 무형문화재 제38호로 지정하여 보존에 힘쓰고 있습니다.

가. 수라상 : 임금과 왕비가 평소에 받는 진지상. 12첩상으로 식전에는 초조반, 점심에는 장국상 
나. 어  상 : 나라의 경사에 임금이 받는 상의 경사(칠순, 육순, 탄신)나 외국사신을 대접할 때 차리는 큰 잔칫상
다. 진연상 : 궁중의 경사(칠순, 육순, 탄신)나 외국사신을 대접할 때 차리는 큰 상

이전글 9월 영양소식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다음글 9월 영양표시 및 원산지표시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