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구암초등학교 로고이미지

영양정보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위대한 우리음식 비빔밥( 5대 영양소 골고루 섭취, 잡곡밥으로 하면 금상첨화 )
작성자 진은숙 등록일 17.06.21 조회수 203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말이 잘 어울리는 한국 대표 3대 음식에는 김치, 불고기와 함께 비빔밥이 있습니다. 한 그릇에 다양한 음식 재료를 섞는 비빔밥 같은 음식은 다른 나라에선 찾기 힘듭니다.‘비빔밥의 힘은 결국 섞어 먹기에서 나오는 맛과 영양의 절묘한 조화입니다. 식탁혁명은 이 같은 우리 음식의 우수성을 바로 알고 이를 식생활에 활용하는 데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1. 섞어 먹기의 교과서

여러 음식을 섞어 먹는 것은 영양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비결입니다. 음식이 섞이면 평소에 좋아하지 않던 것까지 별 거부감 없이 먹게 되므로 다양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는 영양학의 기본 원리에도 잘 맞습니다. 여러 재료가 한데 섞이면서 맛도 상승효과를 내므로 비빔밥은 섞어 먹기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비빔밥 한 그릇을 먹으면 탄수화물(), 단백질(쇠고기, 육회, 달걀), 비타민과 무기질(각종 채소)은 물론 지방(참기름, 들기름)까지 섭취합니다. 게다가 지방의 대부분은 동물성이 아니라 혈관 건강에 유익한 식물성입니다.

 

2. 재료들의 '궁합'이 중요

쌀밥으로 비빔밥을 만들 때는 쑥을 얹는 것이 잘 어울립니다.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백미는 탄수화물, 단백질이 풍부하나 지방, 식이섬유, 칼슘, 철분, 비타민 AC 등은 부족합니다. 따라서 칼슘, 섬유질, 비타민, 엽록소가 들어있는 쑥을 넣으면 영양소의 균형을 이룰 수 있습니다.

비빔밥의 재료로 쇠고기를 쓸 때는 배를 같이 넣는 것이 좋습니다. 배에는 전분, 단백질의 분해효소가 있어 쇠고기를 연하게 하고 소화를 돕기 때문입니다.

 

3. 비빔밥의 힘

비빔밥은 혈당지수가 낮습니다. 혈당지수란 탄수화물이 함유된 식품을 먹을 때 얼마나 혈당이 올라가는지를 기준(100)이 되는 흰 빵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나타낸 수치입니다.

혈당지수가 낮은 식품을 즐겨 먹으면 비만, 당뇨병은 물론 심장병, 뇌졸중 등 혈관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흰쌀밥 대신 현미, 보리, 율무 등 잡곡으로 비빔밥을 만들면 최고의 건강식입니다.

이전글 2017 축산물유전자(한우감별) 검사 결과 알림
다음글 2017 급식만족도 조사 결과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