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1회 장애인의 날 학부모 연수 자료 |
|||||||||||||||||||||||||||||
---|---|---|---|---|---|---|---|---|---|---|---|---|---|---|---|---|---|---|---|---|---|---|---|---|---|---|---|---|---|
작성자 | *** | 등록일 | 21.04.20 | 조회수 | 177 | ||||||||||||||||||||||||
첨부파일 |
|
||||||||||||||||||||||||||||
장애인이란? - 장애인: 신체 일부나 정신적으로 장애가 있어서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는 사람 - 장애인 분류: 다양한 종류의 장애가 존재. 바깥으로 드러난 장애 종류만 알고 있지만, 내부기관의 문제로 장애를 겪은 사람들도 많음 - 우리 모두가 각자 개성 있게 조금씩 다르게 태어난 것과 같이 장애인도 조금 다를 뿐 존중받아야 하는 존재인 것은 동일함
매해 4월 20일은 장애인의 날. 국민의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장애인의 재활의욕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기념일로, 1972년부터 민간단체에서 개최해 오던 4월 20일 ‘재활의 날’에 이어, 1981년부터 나라에서 ‘장애인의 날’로 정하고 기념행사 진행
태어날 때부터 장애인인 사람이 많을까요? 장애도 유전이 되나요? ] → (△): 장애가 유전이 되는 경우도 있고 유전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부모님이 장애인이라고 해서 자녀도 장애인이 되지는 않음 장애인은 일을 할 수 있나요? → (O): 일부 중증 장애인을 제외하고 장애인들도 일을 충분히 할 수 있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알버트 아인슈타인, 미국 전 대통령 프랭클린 루즈벨트, 베토벤도 장애인이었음. 장애인들이 사회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 건강하고 경쟁력 있는 사회를 위해서 필수적임. 장애인들도 정당하게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시설 등을 지원해주어야 하는 의무를 담은 <장애인차별금지법>도 존재. 그러나 사회 내 차별이 존재하여 장애인의 취업률은 36%에 그침 장애인을 ‘장애우’로 표현하는 게 더 좋을까요? → (X): ‘장애우’는 장애를 가진 친구의 의미로 90년대 등장한 신조어. 장애인은 갓난아이에서부터 노인들까지 있어 남녀노소 구분이 없는 보통명사로 지칭하는 게 맞음 장애인을 동정심을 가지고 대해야 하나요? → (X): 장애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불쌍히 여기고 도와주는 것은 옳지 않고, 평등한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함. 무조건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거나 할 수 있도록 돕는 게 좋음 지적 장애인은 자기가 장애인이라는 사실을 알까요? → (O): 장애가 있든 없든, 사람은 다른 사람이 자기를 놀리거나 거부하는 것을 분명히 느낄 수 있음 뇌성마비 장애인은 지능이 낮나요? → (X): 뇌성마비 장애인은 뇌의 한 부분의 이상으로 몸의 어느 부분이 불편하게 생활하는 사람. 그 중에는 말을 잘 못하거나 힘들게 겨우 말을 하는 사람도 있지만, 지능과 관련된 부분에 손상을 입은 것이 아니면 지능은 우리들과 같음
2011년 기준 252만 명, 전체 인구대비 5.6%가 장애인. 7가구 중 1가구에 장애인이 살고 있음. 장애인 중 90.5 ?가 후천성 장애. 우리 모두 장애인이 될 가능성이 있음 일반 국민은 사회의 장애인 차별이 심하다고 생각하고(72.3%), 자신은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는다(86.1%)고 응 하는 등 ‘스스로는 장애인을 차별하지 않으나, 남들은 차별한다’고 생각 그러나 장애인들의 80.7%가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전체적으로 많다고 응답 장애인의 사회적 차별경험을 묻는 설문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을 받은 항목이 “학교생활 중 또래 학생으로부터 의 차별(49.2%)”이라고 응답 * 2011사회조사통계(통계청), 2011장애인실태조사(복지부)
다양한 장애인이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은 기준을 적용할 수 없음. 한 가지 공통점은 다른 사람들을 대할 때와 같이 자연스럽게 대하고, 도움을 주기 전에 도움이 필요한지 물어보기 바른 언어사용 - 장애인 / 비장애인이란 표현 사용. 일반인이나 정상인이란 표현은 하지 않아야 - 장애가 있는 친구들을 부를 때 ‘장애인’이나 ‘도움반’이라는 명칭 대신 이름 불러주기
시각장애인 - 시각장애인에게 길을 안내할 때, "여기", "저기" 등 애매한 표현은 피하고 방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 시각장애인을 안내할 때에는 흰 지팡이의 반대편에서 팔을 잡게 하고, 반보 앞에서 걷기 - 시각장애인을 의자에 앉게 할 때에는 의자 등받이에 손을 갖다 대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청각장애인 - 청각장애인도 입 모양을 보고 의사소통을 하기 때문에, 듣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함부로 말하지 않기 - 청각장애인과 대화를 나눌 때 조금 천천히 말하거나 글로 써서 소통하기. 지나치게 천천히 말하거나 입 모양을 과장해서 말하는 것은 오히려 소통에 방해가 됨 지적장애인 - 한자리에 오래 혼자 우두커니 서 있거나 길을 헤매는 정신지체아동이 있으면 다정하게 신상을 물어보고, 이름표나 소지품에 적힌 연락처로 알려, 안전하게 보호자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돕기 - 지적장애인과 대화를 나눌 때는 쉬운 말로 된 짧은 문장으로 천천히 말하고, 그들의 말을 끝까지 들어주기 - 지적장애인을 만났을 때, 이상한 눈빛으로 보거나 피하거나 놀리지 않기 지체장애인 - 휠체어 이용자 등 지체장애인이 거리에서 곤란해하는 경우를 보면, 도울 일이 없는지 먼저 묻기 - 길거리에서 휠체어나 목발 이용자를 만나면, 먼저 지나갈 수 있게 옆으로 비켜주기
|
이전글 | 학생 건강검진 실시 안내 |
---|---|
다음글 | 2021. 라오스 오지에 우물 하나! 지원 성금모금 협조 안내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