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남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여름철 수상활동 안전수칙 안내
작성자 전주남초 등록일 25.07.03 조회수 31
첨부파일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

가 정 통 신 문

홈페이지 http://www.jeonjunam.es.kr/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장승배기로 376

발행호수: 2025-87

: 284-4064

: 282-3847

 

 

여름철 수상활동 안전수칙 안내

보호자님 안녕하십니까?

날씨가 무더워지면서 계곡, , 바다, 유원 시설 등을 찾아 학생들이 수영, 수상레저 활동 등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짐에 따라 학생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학생들의 수상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다음과 같이 안내해 드리니, 학생들이 안전하게 수상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 적극 지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O 반드시 충분한 준비 운동을 하고 구명조끼를 착용합니다.

O 식후, 배가 고플 때, 심한 운동 후에는 수상활동을 자제합니다.

O 야외 수상활동을 할 때는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합니다.

O 머리카락이 긴 사람은 묶거나 수영모자를 씁니다.

(수상활동 중에 머리카락이 목에 감길 수 있습니다.)

O 물에 들어갈 때는 손·다리얼굴가슴의 순서로 몸에 물을 적신 후 천천히 들어갑니다.

O 물 깊이를 알고 있는 곳, 보호자나 안전요원이 있는 곳에서 수상활동을 합니다.

O 다리에 쥐가 나면 즉시 물 밖으로 나옵니다.

O 다음의 증상이 있으면 수상활동을 중지합니다.

· 몸이 떨리거나, 입술이 푸르고 얼굴이 당기는 증상

· 피부에 소름이 돋을 때 등

O 위급할 때는 한쪽 팔을 최대한 높이 올리고 흔들어 도움을 청합니다.

O 껌을 씹거나 음식을 먹으면서 수상활동을 하지 않습니다.

O 깊은 물로 떠밀거나 물속에 오래 있기 등의 장난을 치지 않습니다.

O 신발이나 물건이 물에 떠내려가도 혼자 건지지 말고, 주위의 어른께 도움을 청합니다.

O 전신을 맑은 물로 씻고 양치질을 합니다.

O 물기를 잘 닦고, 머리를 완전히 말립니다.

O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작은 부상이라도 반드시 치료합니다.

갯벌체험 이렇게 합시다!

?? 필수적인 장비는

발에 맞는 장화

갯벌이 묻어도 얼룩이 남지 않는 긴팔 옷

여벌의 옷 / 창이 넓은 모자 / 면장갑 / 썬크림

관찰일지 / 망원경 / 나침판 / 시계 / 간단한 구급약 등

?? 준수사항

갯벌체험의 가능 지역을 미리 알아보고, 체험이 가능한 장소에서만 한다.

마을 공동 어장 또는 양식장이 있는 갯벌에서는 어장에 무단출입을 하지 않는다.

수산물 어패류의 채집을 목적으로 한 갯벌체험은 자제하고, 어패류의 서식장소를 찾아 연안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까지 들어가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채집한 어패류의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경우 그 무게로 인해 갯벌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갯벌에는 절대로 어린이 혼자 들어가지 않도록 하며, 어른도 혼자 들어가지 않는다.

갯벌에 발이 깊이 빠진 경우 반대 방향으로 엎드려 기어 나오며, 안내인의 도움을 받는다.

위급한 경우 119의 도움을 받는다.

갯벌에는 맨발로 들어가지 않는다. 발에 잘 맞는 장화를 착용하며 샌들을 착용할 경우 반드시 양말을 착용한다. 갯벌에는 어패류의 패각 등이 있어 맨발로 출입할 경우 심한 상처를 입을 수 있다.

?? 바람직한 갯벌체험 요령

갯벌체험시 갯벌생물을 채집한 경우 한 달 뒤에 같은 장소에서 갯벌생물은 45% 감소하며, 관찰만 했을 경우에는 20% 감소한다. 갯벌은 사람이 밟고 지나가기만 해도 갯벌 표면에 살고 있는 어린 생물들은 전멸에 가까운 사망에 이른다.

갯벌체험은 모종삽이나 갈구리를 준비하기보다는 카메라, 망원경, 관찰일지 등을 준비해갯벌의 여러 유형과 그곳에 살고 있는 생물을 관찰하며 자연생태계를 느끼는 것이 교육적인 갯벌체험이 된다.

갯벌은 단순히 부드러운 흙으로 되어 있어 아무나 밟고 놀아도 되는 곳이 아니며, 그곳에 살고 있는 갯벌의 생물들은 먼저 발견한 사람이 가져가도 되는 주인 없는 물건이 아니다. 갯벌에 살고 있는 생물들은 끊임없이 갯벌을 정화해 내며 깨끗한 생태계를 유지해 주는 갯벌의주인이다.

2025. 7. 3.

전 주 남 초 등 학 교 장


이전글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 시스템 사업 시행 안내
다음글 2025년 여름 독서교실 수강생 모집 안내(전주학생교육문화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