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고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질병정보 및 예방법
작성자 *** 등록일 16.08.16 조회수 192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Zika virus disease)

지카바이러스 발생국가현황[바로가기]

1. 개요

1947년 우간다 붉은털원숭이에서 바이러스가 최초로 확인되었고, 인체감염사례는 1952년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처음 보고

2. 질병 특성

  가. 원인 병원체

뎅기, 치쿤구니야, 황열 바이러스와 동일한 Flavivirus 계열

  나. 감염 경로

  • (주된 전파) 숲모기*에 의한 전파로 감염되며 감염자와 일상적인 접촉으로 감염되지 않음
    * 이집트 숲모기(Aedes aegypt)가 주된 매개체이나 국내 서식하는 흰줄 숲모기(Aedes albopictus)도 전파 가능
  • (수혈 전파) 관련 문헌 보고는 없지만 잠재적으로 수혈에 의한 전파 가능성 제기
  • (성접촉에 의한 전파) 성접촉 때문에 감염되었을 가능성 있는 사례 보고 있으며, 감염회복 후 2주까지 정액에서 바이러스 확인

  다. 임상적 특징

  • (증상) 특징적인 증상은 반점구신성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러운 발열이고, 관절통, 결막염, 근육통, 두통이 동반될 수 있음
  • (기간 등) 증상은 3~7일 정도 가볍게 진행되며 약 80%는 불현성 감염
  • (합병증) 지카바이러스 감염증가로 인해 소두증 신생아 출산 증가와 길랭-바레 증후군 증가 경향이 보고되고 있으나 원인 여부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 중임

3. 진단과 치료

  • (진단) 혈청 RT-PCR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하여 확진하며 국내에서는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확진 가능
  • (치료)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증상이 있을 경우 진통제, 해열제 치료 가능. 뎅기열의 경우 아스피린 또는 소염진통제 치료시 출혈 부작용 나타날 수 있어, 복용자 배제 진단 우선 필요

4. 예방법

  • 귀국한 뒤 2주 이내 의심증상(발열, 발진, 관절통, 근육통, 결막염, 두통)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주세요.
  • 의료기관 방문 시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여행력을 알려 주세요.
  • 귀국 후 1개월 간 헌혈을 금지해 주세요.
  • 성접촉에 의한 전파를 예방하기 위한 잠정적* 권고안입니다.(‘16.2.19)
  • 공통사항 : 지카바이러스 환자와 그의 성 파트너는 지카바이러스가 성접촉에 의해 전파될 위험성과 그 예방법에 대한 안내를 받을 것을 권고
  • 가임여성 : 지카바이러스 환자가 발생한 국가를 여행한 가임여성은 귀국 후 2개월 동안 임신을 연기할 것을 권고
  • 남성 : 성 파트너가 임신상태인 경
    - 임신기간 동안은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
    남성 파트너가 임신상태가 아닌 경우
    - 최소 2개월 동안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
    * 단, 확진된 경우 회복 후 6개월 동안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 사용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해 주세요.
  • 야외 외출시에는 긴팔 상의와 긴바지 의류를 착용하고, 모기는 어두운 색에 더 많이 유인되므로 가능한 밝은 색 옷을 착용해 주세요.
  • 모기 기피제는 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노출된 피부나 옷에 엷게 바르고, 눈이나 입, 상처에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 기타 모기 퇴치 제품 사용시 주의사항 확인 후 사용해 주세요

                               - 출처: http://www.cdc.go.kr/CDC/health/CdcKrHealth0101.jsp?menuIds=HOME001-MNU1132-MNU1147-MNU0746-MNU2423&fid=7956&cid=68928

이전글 결핵 질병 정보(질병관리본부)
다음글 폭염 대비 국민행동요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