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당초등학교 로고이미지

학교앨범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7.6(금) 3교시 6학년 보건수업 2차시
분류
작성자 김혜인 등록일 23.07.06 조회수 110
첨부파일

 

6학년 3교시 수업 사진입니다.

 

아이들에게 사춘기의 신체변화와 사춘기의 뇌 변화 둘 중 하나 고르도록 선택지를 줬는데 사춘기의 뇌 변화에 대해 배우겠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1. 사춘기란: 1년의 시작인 봄처럼 독립적인 사고를 시작하는 과정

2. 외모와 유행에 관심이 많아지는 이유, 외모지상주의의 문제점 알아보기

3. 사춘기가 되면 "왜?"라는 질문을 왜 많이 하게 될까

4. 중독: 약물 중독 → 다이어트 약, 공부 잘하는 약, 마약류 등 약물 중독 예방교육

5. '잔소리라 느껴졌던 말' 발표

로 구성을 했습니다.

 

중독은 핸드폰, 도박, 컴퓨터, 약물(담배, 술, 약품 및 의약품) 스마트폰 등 여러가지로 분류 할 수 있지만 약물 중독을 집증적으로 교육하기로 결심한 이유가 있습니다. 

 

최근에 마약류 예방교육 연수를 듣고 왔는데 2022년도 여성가족부에서 19세 미만의(청소년)을 대상으로 낸 통계에서 10.4%가 펜타닐 패치 이용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합니다.

흡연과 음주의 경우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추세인데 마약 예방 교육은 그 동안 부재했습니다.

 

SNS에 의해 중학생, 고등학생 때 위험에 많이 노출된다고 합니다.

 

통계가 100% 정확하진 않더라도 10대 때 10명 중 1명은 마약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안 가르칠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KakaoTalk_20230706_123123895_01어떤 방식으로 약물 사용의 유혹을 받게되고,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실제 사례와 연관지어 접근했습니다. 

 

아이들은 이미 마약의 종류 몇 가지를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질문이 하나 있었는데 "선생님, OOO에는 마약이 들어있나요? 마약 OOO라고 광고하는 것에요." 였습니다.

마약이라는 단어가 중독성 있다는 뜻으로 쉽게 쓰여져서 마약에 대해 인식이 가볍게 여겨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질문이었습니다.

 

오늘 아이들에게 가장 전달하고 싶었던 것은 

마약은 '조제-판매-유통(운반)-사용(투약)'한 사람 모두 처벌 받기 때문에 알고도 일부러 사거나 파는 과정에 엮여선 안 된다는 것,

몰랐거나 속아서 어쩔 수 없이 마약을 투약하게 된 경우 믿을만한 어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아래 사진은 들었던 잔소리 중 생각나는 것들에 대한 발표를 하는 모습입니다.

 

어른들의 이야기가 잔소리라고 생각한 적이 없다는 아이들도 있었습니다.

 

대체로 무언가 활동에 집중하고 있는데 정리하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잔소리를 한다고 느꼈다고 했습니다.

(보면 본인 방 치우는 일에 관한 것이라 잔소리가 틀린 말은 아니여서 언젠간 하긴 해야한다는 것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다른 친구들 발표 할 때 끼어들어 자기 얘기 하지 않고 차례 기다리면서 잘 들어주는 태도가 참 좋았습니다.


KakaoTalk_20230706_123123895_03

KakaoTalk_20230706_123123895_04

KakaoTalk_20230706_123123895_05

KakaoTalk_20230706_123123895_06

 

이전글 7.7 여름놀이(리조트 물놀이 체험)
다음글 유치원 에어놀이터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