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사랑하기 8호 |
|||||
---|---|---|---|---|---|
작성자 | 김달순 | 등록일 | 15.12.21 | 조회수 | 281 |
학부모님께 드리는 말씀
자녀는 많이 자랐습니다. 때로 자녀가 부족한 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부모의 개입에는 한계가 있고, 부모의 바라는 대로만 성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인정받고 싶어 합니다. 자녀의 생각과 행동을 믿고 들어주시면, 자녀는 스스로 책임감을 느끼며 그만큼의 자존감을 갖게 될 것입니다. 이번 뉴스레터는 부모님께서 자녀의 자존감을 어떻게 높여줄 수 있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1. 자녀가 부모님의 바람대로 성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십시오.자녀의 생각과 행동을 믿어주는 것은, 아이 스스로에게 책임감을 심어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녀는 높은 자존감을 갖게 됩니다. 부모님이 믿어 주는 만큼 아이는 할 수 있습니다.
▪ 노력한 부분에 대해 언급함
▪ 부모 자신의 감정을 언급함 ▪ 질문형으로 따지듯이 칭찬함 ▪ ‘왜’로 시작하는 질문을 섞음 ▪ 추가로 더 할 것들을 요구함
5. “사랑한다”는 말을 하십시오. 사랑한다는 표현은 자녀들로 하여금 스스로 소중한 존재라는 확신을 갖게 합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자존감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며, 주변 사람들을 대할 때도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6. 욕설과 폭력은 금물입니다. 부모님께서 스스로의 감정과 분노를 조절할 수 있어야 자녀도 자신의 감정과 분노를 조절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억울한 마음은 기억에 오래 남아 아이를 괴롭힙니다. 만약 부모님께서 잘못하신 것이 있다면 진심을 담아 빨리 사과하는 것이 좋습니다. 7. 기다릴 줄 알아야 합니다. 자녀가 성장하는 과정은 많은 시간이 걸리는 기나긴 여정입니다. 급하게 아이를 변화시키려 하지 마시고 꾸준히 기다려주세요. 청소년기의 자녀는 여전히 부모님에게 많은 부분을 의지하고 있습니다. 부모님께 충분한 인정과 사랑을 받으며 자란 아이는, 자연스럽게 스스로를 사랑받기에 충분한 소중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2015년 12월 본 뉴스레터는 교육부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 의뢰하여 제작한 “자녀 사랑하기” 8호이며, 총 8회에 걸쳐 가정으로 보내드립니다. |
이전글 | 2016년도 시설관리업무 지원인력 합격자 공고 |
---|---|
다음글 | 2016년도 시설관리업무 지원인력 채용공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