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중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4년 흡연예방 가정통신
작성자 *** 등록일 24.06.05 조회수 86

                    2024년 흡연 예방 가정통신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매년 531일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지정한 세계 금연의 날입니다.

본교는 담배 연기 없는 건강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흡연 예방 교육, 흡연 예방 캠페인등을 통해 학생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합니다. 학부모님께서도 소중한 자녀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 지도 부탁드립니다.

최근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결과(2023년 기준) 처음 흡연을 경험한 연령이 13.5, 매일 흡연을 시작한 연령은 14.0세 매년 우리나라 청소년의 흡연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2020년 기준 OECD 가입 국가 중 15~25세 인구에서의 흡연율이 14번째로 높은 국가에 해당합니다. 청소년기로 진입하는 과정에, 흡연 노출을 방지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자녀에게 흡연예방 교육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액상형 전자담배의 유해성

1. 건강 악영향

- 청소년기 니코틴 노출은 뇌 발달에 악영향을 줍니다. 특히 주의력, 학습, 기분 및 충동 조절을 제어하는

뇌부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 전자담배는 사용량에 따라 즉각적인 건강 이상 신호로 기침, 두토, 어지러움, 목염증 등을 유발합니다.

- 호흡 과민, 호흡 이상, 저산소증과 같은 호흡기계 이상과 동맥경화 위험 증가 등의 순환기계 이상을 유발

2. 니코틴 중독

- 전자담배 액상 속에는 마약보다 중독성이 강한 니코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액상 속 각종 맛과 향에 대한 호기심으로 시작했지만, 결국 니코틴 중독에 빠짐

3. 일반 담배 흡연 관문

- 전자담배 사용으로 니코틴에 중독되면, 결국 일반담배(궐련) 흡연자가 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전자담배를 사용한 고등학생은 6개월과 12개월 후 궐련흡연자가 될 가능성이 전자담배를 사용하지 않은

학생보다 각각 2, 6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4. 간접노출 위험

- 전자담배 배출물은 결코 수증기가 아닙니다.

- 전자담배 배출물에는 각종 발암물질, 독성물질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궐련과 달리 불쾌한 담배냄새가 나지 않더라도 간접노출 시 각종 발암·독성물질로 영향을 미침

5. 청소년보호법 위반

- 청소년보호법에서는 전자담배 기기장치를 청소년 유해물질(물건)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 청소년에게 액상형 전자담배를 판매하는 것은 청소년보호법을 위반하는 행위입니다.

-질병관리청(한국담배규제연구교육센터 교육 자료)

 

흡 연 예 방

베이핑(Vaping)’이라는 용어를 알고 계신가요?

요즘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을 이르는 말입니다. 전자담배 전용 기기장치에

니코틴, 각종 맛과 향을 내는 가향 첨가제를 넣은 액상을 주입해 흡입하는 담배의 일종으로,

전자담배 기기 장치는 청소년이 주로 사용하는 물건과 유사한 모양과 제작되어 전자담배를 구별해

내기 쉽지 않습니다.

담배에는 4천여 가지의 유해물질과 60여 가지의 발암물질이 들어있습니다. 특히 니코틴, 타르, 일산화탄

소는 우리 몸에 해로운 담배의 대표적인 3대 성분입니다. 담배의 유해물질은 신체와 정신 기능에 변화를

초래하여 질병이나 암을 일으키며 학습 능력에도 나쁜 영향을 주어 우리 건강을 해칩니다.

 

청소년 흡연이 더 나쁜 이유는 무엇일까요?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발달과 함께 자아정체성을 만들어가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성인기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이 형성됩니다. 또한, 자아효능감을 형성해 나가면서 주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청소년기의 흡연시작 역시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는 과정 중 확립되지 않은 자아 속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입니다.
청소년 흡연은 자아 존중감, 사회규범에 대한 신념, 유혹 거절의 자기 효능, 흡연 친구 교제, 부모의 흡연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청소년기의 흡연은 신종담배, 음주 및 약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 관문(gateway)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청소년 흡연은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담배는 마약처럼 강하게 중독되는 약물로, 담배를 시작하는 연령이 낮으면 낮을수록, 많이 피우면 피울수록 그 폐해가 커집니다. 특히 청소년의 세포, 조직, 장기는 미성숙한 상태여서 유해한 독성 물질이나 화학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어른보다 손상 정도가 훨씬 더 심각합니다.

15세 이전에 흡연을 시작한 사람은 25세 이후에 시작한 사람보다 폐암 사망률이 4배나 더 높아지는데, 이것은 어린 시절부터 담배를 피우면 자연히 흡연 기간도 더 길고, 흡연량도 훨씬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마약. 음주 및 약물 오.남용 예방

모르는 사람이 주는 간식은 위험해요!

- 학교 밖이나 학원가, 외출했을 때 모르는 사람이 권유한 간식이나 음식(사탕, 음료수, 과자, 초콜릿 등 포함)은 절대 먹지 않습니다

- 부모님 허락 없이 모르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이름이나 핸드폰 번호, 생년월일, 집 주소, 각종 비밀번 호등 개인정보를 절대 알려주지 않습니다

- 길거리나 놀이터 등에서 모르는 사람이 동행을 요정하면 거절하고 자리를 떠납니다.

- 마실 물은 개인 텀블러나 물통에 넉넉히 넣어서 외출할 수 있도록 챙겨 주세요.

 

 

흡연 예방 가로세로 낱말퀴즈 (퀴즈 풀어 621

까지 보건실에 제출하면 추첨하여 상품 지급) 학년 반 번 이름 :

 

2

3

11

4

5

6

7

1

8

9

10

<가로>

1. 흡연은 위산분비를 촉진하고 혈액순환장애를 유발하여 위 내벽이 손상될 확률을 높인다. 위 점막과 근육층에 손상이 있는 상태를 뜻하는 질환은?

2. 꺼진 담배에서도 0000() 배출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담배꽁초가 지하수로 흘러들어가 꽁초 1개당 물 40L를 오염시켜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 독성을 지니고 있어 사람의 신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을 뜻하는 것은?

3. 흡연은 폐기능을 저하시켜 호흡기 질환의 중증도를 증가시키고, 이것에 감염될 가능성도 커집니다. 201912월 중국 우한에서 첫 사례가 보고된 감염병은?

4. 담배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매년 531일을 000000()로 지정하였다.

5. 흡연은 칼슘과 비타민D 흡수를 막아 호르몬 대사 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뼈의 형성을 방해한다. 뼈에 구멍이 생기고 점점 약해져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일으키는 질환은?

6. 후두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며, 말하고 먹는 등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는데 악영향을 주는 질환이다. 흡연자의 90~95%가 이 질환에 걸리지만 금연한지 15년이 지나면 비흡연자와 질환 발생률이 비슷해진다고 한다.

7. 보건 상태의 향상을 위하여 국제적으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하여 1948년에 설립된 국제 연합의 전문기구

8. 전형적으로 젊은 남성 흡연자에게 잘 발생하는 질병이다. 혈관폐쇄로 안해 손이나 발끝이 괴사되고 심할 경우 절단까지 초래하는 혈관질환이다.

9. 담뱃진이라고 하는 검은색의 끈적끈적한 액체로 담배의 대표적인 발암물질

10. 담배를 계속 피울 경우 산소 대신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만성 저산소증 현상(집중력 저하, 기억력 저하)을 일으키게 하는 성분은?

11. 흡연자 주위에서 비흡연자가 흡연자의 담배연기를 들이마시게 되는 것으로 간접흡연자가 발암물질과 유해 화학물질이 더 높은 농도로 포함된 주로 000에 노출된다.

<세로>

담배, , 마약 따위를 지나치게 복용한 결과, 그것 없이는 견디지 못하는 병적 상태

같은 공간이 아니라 다른 장소에서 흡연해서 흡연자의 옷이나 머리카락 등에 여러 가지 유해성분이 묻은 경우에도 주변 사람에게 건강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간접흡연의 형태

강력한 습관성 중독을 일으키는 마약물질이며 담배를 쉽게 끊지 못하게 한다. 혈관수축, 고혈압을 유발시키는 물질은?

흡연을 오랫동안 했던 사람이 중지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

, 담배 등과 같이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소득여부와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부과되는 간접세

간접흡연의 위험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금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 법령에 의해 흡연이 금지되는 구역

담배 속에는 약 4,000여 가지의 화학물질이 들어 있다. 이 중에서도 이미 알려진 ○○○○무려 40가지나 된다. 세포 이상을 불러와서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이 물질은?

국민00000에 의해 흡연방지를 위한 경고그림, 경고문구, 발암물질 소개, 금연상담 전화번호를 반드시 빠짐없이 표기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흡연은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혈소판의 응집력을 키워 혈전을 형성하고 염증세포를 혈관벽에 쌓이게 하여 혈관벽이 좁아지고 혈류가 감소하며 혈관이 막히게 한다. 혈관에 지방이 붙어 동맥이 좁아지고 탄력성을 잃는 질환은?

0000캠페인은 담배를 집는 두 손가락 검지와 중지를 묶어 금연의 의지를 표현하는 금연응원캠페인이다.

담배를 피우는 것을 중단하는 것

담배를 끊는 것이 간접흡연의 폐해로부터 자신과 00()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2024.6.5. 

 남성중학교장(직인생략)


이전글 2024년 초중고 학생 교육정보화 지원사업(컴퓨터 및 인터넷통신비 지원) 안내
다음글 24년 홍역,백일해 예방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