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자율동아리 JJCC 아침수학교실 바로가기 ======================================== JJCC 동아리 2025학년도 활동 보고서 ======================================== 1. 동아리 개요 ---------------------------------------- - 동아리명: JJCC (Joyful & Just Climate Crusaders) - 활동 주제: 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융합적 탐구 및 콘텐츠 제작 - 활동 기간: 2025년 4월 ~ 2025년 10월 - 참여 인원: 총 30명 - 지도 교사: 김OO 선생님 - 활동 장소/시간: 학교 정보실 / 매일 아침 및 점심시간 2. 활동 목표 ---------------------------------------- 본 동아리는 인류의 보편적 과제인 '지구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교과서적 접근을 넘어 다양한 학문 및 생활 분야와 창의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탐구 과정을 효율화하고, 최종 산출물로 다국어 TTS(텍스트 음성 변환) 기능이 포함된 HTML 콘텐츠를 제작하여 학우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인식을 제고하고자 하였습니다. - 지식 탐구: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중요성을 다각도로 학습 - 창의 융합: 인문, 사회, 과학, 예술, 수학 등 여러 분야와 주제를 연결하는 능력 함양 - 디지털 리터러시: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료 조사, 번역, 시나리오 생성, 코딩 능력 배양 - 협업 및 공유: 제한된 시간 속에서 협업하여 결과물을 만들고, 온라인을 통해 활동 성과 공유 3. 주요 활동 내용 및 과정 ---------------------------------------- JJCC 동아리는 30명의 부원들이 자발적으로 아침과 점심시간을 활용하여 '지속가능발전'이라는 대주제 아래, 각자의 관심사와 지식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모든 산출물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시나리오 작성, 다국어 번역 및 TTS HTML 코드 생성 과정을 거쳤습니다. 가. 1단계: 생활·문화 속 지속가능성 탐구 (4월 ~ 5월) - 활동 내용: 학생들에게 친숙한 K-컬처(아이돌, 가곡), 음식(라면, 채소), 일상(품사) 등의 소재와 지속가능성을 연결하는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제작했습니다. - 주요 산출물: 맛있는라면_지속가능발전.txt, 한국아이돌10_지속가능발전.txt 등 - 활동 의의: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지속가능성'이라는 주제를 일상과 연결하여 부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문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추었습니다. 나. 2단계: 인문·사회과학적 접근 (6월 ~ 8월) - 활동 내용: 문학 작품(소년이 온다, 위대한 유산,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홍길동전), 역사(지질시대), 사회(대한민국 광역단체) 등 인문·사회과학적 관점에서 지속가능성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토론 시나리오를 제작했습니다. - 주요 산출물: 소년이온다_지속가능발전.txt, 찰스디킨스_위대한유산_지속가능발전.txt 등 - 활동 의의: 역사적 사건과 문학 속 인물의 고뇌를 통해 지속가능성이 단순한 환경 문제를 넘어, 인간의 존엄성과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의 문제임을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다. 3단계: 자연·수리과학적 심화 탐구 (9월 ~ 10월) - 활동 내용: 동아리 내 수학·과학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을 중심으로, 동물, 원소, 물리학 법칙, 그리고 위상수학, 선형대수학, 해석학 등 고도의 수학적 개념을 의인화하여 지속가능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독창적인 시나리오를 제작했습니다. - 주요 산출물: 모든원소회의_지속가능발전.txt, 실공간_위상_성질_10_지속가능발전.txt, 해석학분야_지속가능발전tts.txt 등 - 활동 의의: 추상적인 과학·수학 원리를 현실 문제 해결의 도구로 활용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고, 학문 간 경계를 허무는 융합적 탐구의 정점을 보여주었습니다. 4. 활동 산출물 및 성과 ---------------------------------------- 총 7개월의 활동 기간 동안, 부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총 22개의 다국어 TTS HTML 결과물을 제작하여 교내 자료실 서버에 공유하였으며, 주요 산출물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요 산출물 목록] - 01. 맛있는라면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21.8KB, 다운로드: 119) - 02. 모든원소회의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101KB, 다운로드: 22) - 03. 지속가능발전_동물회의.txt (크기: 50KB, 다운로드: 21) - 04. 한국어10품사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20.25KB, 다운로드: 18) - 05. 한국의시인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23.22KB, 다운로드: 17) - 06. 한국아이돌10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21.47KB, 다운로드: 22) - 07. 물리학기본10법칙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22.04KB, 다운로드: 17) - 08. 지속가능발전_동물회의.zip (크기: 24.67KB, 다운로드: 8) - 09. 지질시대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10.24KB, 다운로드: 16) - 10. 대한민국광역단체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31.43KB, 다운로드: 18) - 11. 아름다운한국가곡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20.33KB, 다운로드: 17) - 12. 맛있는채소10가지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20.84KB, 다운로드: 17) - 13. 중학교수학정의10개_지속발전가능.txt (크기: 29.78KB, 다운로드: 12) - 14. 소년이온다_지속가능발전1.txt (크기: 14.67KB, 다운로드: 10) - 15. 소년이온다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17.02KB, 다운로드: 9) - 16. 찰스디킨스_위대한유산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11.34KB, 다운로드: 11) - 17. 홍길동전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9.1KB, 다운로드: 9) - 18. 마가렛미첼_바람과함께사라지다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11.39KB, 다운로드: 8) - 19. 실공간_위상_성질_10_지속가능발전.txt (크기: 53.42KB, 다운로드: 4) - 20. 수학분야_지속가능발전tts.txt (크기: 43.79KB, 다운로드: 4) - 21. 선형대수학분야_지속가능발전tts.txt (크기: 27.6KB, 다운로드: 1) - 22. 해석학분야_지속가능발전tts.txt (크기: 27.51KB, 다운로드: 1) 5. 활동 평가 및 제언 ---------------------------------------- 가. 긍정적 평가 - 창의적 주제 접근: '맛있는 라면'과 같은 일상적 소재부터 '해석학'과 같은 전문 분야까지, 모든 것을 '지속가능성'과 연결하는 창의적 시도를 통해 주제에 대한 다층적 이해를 도모했습니다. 특히 '맛있는 라면' 산출물의 높은 다운로드 수(119회)는 생활 밀착형 주제의 효과성을 입증합니다. - AI 활용 능력 향상: 생성형 AI를 단순한 검색 도구가 아닌, 아이디어 생성, 시나리오 구성, 번역, 코딩의 전 과정에 활용하는 '협업 파트너'로 삼음으로써, 30명 부원 모두의 AI 활용 능력과 디지털 리터러시가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 자기주도적 참여: 정규 동아리 시간이 아닌, 자투리 시간을 활용한 자발적 참여를 통해 높은 수준의 결과물을 꾸준히 생산하며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열정을 보여주었습니다. 나. 개선점 및 향후 활동 제언 - 체계적인 홍보 부족: 결과물의 우수성에 비해 교내 홍보가 부족하여 일부 학생들만 결과물을 접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향후 동아리 SNS 채널 개설, 학교 축제 기간 동안의 발표회 등을 통해 활동 성과를 적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습니다. - 심화 탐구 시간 확보: 아침, 점심시간만으로는 복잡한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과 협업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방과 후 시간이나 주말을 활용한 집중 토론 및 워크숍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탐구의 질을 높일 것을 제언합니다. - 외부 전문가 연계: 생성형 AI 기술, 지속가능성 정책 등 각 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특강을 듣거나, 온라인을 통해 자문을 구하는 활동을 추가한다면 탐구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6. 결론 ---------------------------------------- JJCC 동아리는 지난 7개월간 '지속가능한 지구'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다양한 학문적, 창의적 탐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라는 새로운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30명 부원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본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은 융합적 사고와 디지털 역량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인재로 성장하는 데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2025 자율동아리 JJCC 아침수학교실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