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 교육] 개인정보보호교육 바로가기
1. 교육목표
개인정보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한다. 개인정보 유출 사례를 통해 경각심을 가진다. 일상생활에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을 익힌다.
2. 목차
개인정보란 무엇인가요? 개인정보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왜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할까요? 실제 사례로 보는 개인정보 유출 SNS에서 개인정보 지키기 스마트폰/인터넷 사용 시 주의사항 개인정보 보호 수칙 5가지 퀴즈 & 토론 활동 정리 및 실천 다짐
[주요 내용 정리] 1. 개인정보란? 정의: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시: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번호, 사진, 위치정보 등
2. 왜 중요한가요? 누군가 내 정보를 악용할 수 있음 금융사기, 스토킹, 해킹 등에 노출될 수 있음
3. 실제 유출 사례 ○○ 중학생이 SNS에 올린 사진에서 집 주소 노출 → 범죄 이용 게임 사이트 가입 시 허위사이트 접속 → 개인정보 탈취
4. SNS 사용 시 주의사항 전체 공개 금지 위치정보 자동 공개 끄기 낯선 사람의 친구 요청 거절 비밀번호는 친구에게도 공유하지 않기
5. 개인정보 보호 수칙 개인정보는 꼭 필요한 곳에만 제공 개인정보 입력 전 사이트의 신뢰 확인 의심스러운 메시지/링크 클릭 금지 정기적으로 비밀번호 변경 SNS에 과도한 개인 정보 노출 금지
[퀴즈] 개인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이름 ② 좋아하는 색깔 ③ 주민등록번호 ④ 전화번호
[ 토론]
"SNS에 친구들과 사진을 공유하는 건 괜찮을까?" 찬반으로 나눠 의견 나누기
[실천 다짐 쓰기]
나만의 개인정보 보호 실천 문장 만들기 예: “나는 낯선 링크를 절대 클릭하지 않겠다!”
=========================================================== [개인정보의 개념과 중요성] 1. 개인정보란 무엇인가요?
개인정보란, 나를 알아볼 수 있는 모든 정보예요.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 번호 주소 사진 학교 이름 이메일 주소 내가 자주 가는 장소(위치 정보)
[ 예시]
“김수진이라는 이름 + 010-1234-5678” → 누구인지 알 수 있음 = 개인정보 “서울에 사는 중학생” → 일반 정보, 특정인을 알 수 없음 = 개인정보 아님
[ 이미지 아이디어]
학생 캐릭터 옆에 여러 정보가 말풍선으로 떠 있는 그림 (예: 이름, 사진, 전화번호 등)
2. 개인정보가 왜 중요할까요?
내 정보를 다른 사람이 마음대로 쓰면 큰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이유 1: 나쁜 사람들이 내 정보를 악용할 수 있어요 스팸 전화, 사기 문자, 해킹, 신분 도용
이유 2: 범죄에 이용될 수 있어요 내가 SNS에 올린 사진에서 집 위치나 학교 정보가 드러날 수 있어요 → 도촬, 스토킹, 절도 같은 범죄로 이어질 수 있음
이유 3: 한 번 유출되면 되돌릴 수 없어요 인터넷에 올라간 정보는 완전히 지우기 어려워요 → 시간이 지나도 계속 피해를 받을 수 있어요
생각해 보기
내 SNS나 게임 계정에 어떤 정보가 있는지 확인해 본 적 있나요?
이미지 아이디어
자물쇠로 잠겨 있는 개인정보 아이콘 누군가가 정보를 훔쳐보는 그림 (도둑 캐릭터 등)
============================================================
[개인정보 유출 사례 10가지]
1. SNS에 사진을 올렸는데 교복과 이름표가 보였어요. 이 사진을 본 사람이 학교와 이름을 알게 되어, 특정인을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 예방: 사진을 올릴 때는 배경과 옷에 개인 정보가 담겨 있지 않은지 꼭 확인해야 해요.
2. 친구에게 게임 계정 비밀번호를 알려줬어요. 친구가 장난으로 아이템을 다 팔아버렸고, 계정을 탈퇴시켜 큰 피해를 봤어요. → 예방: 비밀번호는 누구와도 공유하지 말고, 정기적으로 바꿔 주세요.
3. 문자로 온 이벤트 링크를 클릭했어요. 가짜 사이트에 이름과 전화번호를 입력했더니 스팸 전화가 계속 왔어요. → 예방: 모르는 번호나 출처가 불확실한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4. 카페에서 공공 와이파이를 이용해 SNS에 로그인했어요. 해커가 와이파이를 통해 접속 정보를 훔쳐서 계정을 도용했어요. → 예방: 공공 와이파이에서는 중요한 로그인은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합니다.
5. 인터넷에서 ‘무료 선물 이벤트’에 참여하면서 개인정보를 입력했어요. 나중에 알고 보니 가짜 이벤트였고, 내 정보가 광고업체에 넘어갔어요. → 예방: 이벤트에 참여할 땐 사이트가 믿을 만한 곳인지 꼭 확인하세요.
6. 게임 커뮤니티에 닉네임, 나이, 지역, 연락처를 함께 적었어요. 이후 이상한 메시지와 사기가 이어졌어요. → 예방: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절대 개인정보를 쓰지 마세요.
7. 중고 거래를 하면서 채팅방에 집 주소와 전화번호를 알려줬어요. 상대가 물건을 사지 않고, 내 연락처를 다른 데 사용했어요. → 예방: 직접 만나는 거래는 사람이 많은 곳에서 하고, 주소 노출은 피하세요.
8. ‘축하합니다! 상품에 당첨되셨습니다’라는 이메일을 받았어요. 기뻐서 이름과 계좌번호를 입력했더니, 돈이 빠져나갔어요. → 예방: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은 열지 말고, 개인정보 입력은 절대 하지 마세요.
9. 학교 발표 과제에 집 주소를 써서 발표 자료로 만들었어요. 그 자료가 학교 홈페이지에 올라가면서 누구나 내 집 주소를 볼 수 있게 됐어요. → 예방: 발표나 과제에는 꼭 필요한 개인정보 외에는 넣지 않아야 해요.
10. 스마트폰으로 찍은 사진을 SNS에 올렸어요. 사진에 위치정보(GPS)가 자동으로 저장돼 있어, 다른 사람이 내가 사는 곳을 알게 됐어요. → 예방: 스마트폰 설정에서 ‘사진에 위치 정보 저장’ 기능을 꺼두는 것이 좋아요. ==================================================================== [일상생활에서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
1. SNS에 올리는 사진과 글, 꼭 확인하기
사진 속 학교 이름, 교복, 이름표, 친구 얼굴, 집 위치 등이 보이지 않도록 주의해요. 전체공개가 아닌 친구만 보기로 설정하고, 모르는 사람은 친구 추가하지 않아요. 실시간 위치를 알릴 수 있는 글(예: "지금 ○○카페에서 공부 중")은 피하는 게 좋아요.
2. 비밀번호는 안전하게 관리하기
생일, 이름, 1234 같은 쉬운 비밀번호는 사용하지 않기 한 계정에 같은 비밀번호를 여러 번 쓰지 않기 정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바꾸기 친구에게도 비밀번호는 절대 공유하지 않기
3. 모르는 링크나 메시지, 절대 클릭하지 않기
“당첨되셨습니다!”, “무료 아이템 드려요” 같은 문자는 대부분 사기예요. 낯선 번호로 온 메시지나 링크는 열지 말고, 부모님이나 선생님께 보여 주세요.
4. 공공장소 와이파이 사용할 때 조심하기
카페, 지하철, 공원 등에서 제공하는 무료 와이파이는 해킹 위험이 있어요. 이럴 때는 SNS 로그인, 인터넷 쇼핑, 인터넷 뱅킹은 하지 않는 게 좋아요.
5. 설문조사나 이벤트 참여 시 정보 제공 주의
인터넷이나 앱에서 “간단한 설문조사”를 한다며 이름, 전화번호, 학교 등을 요구할 수 있어요. 꼭 필요한 게 아니라면, 개인정보는 입력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6. 앱 설치 시 접근 권한 확인하기
앱을 설치할 때 “이 앱이 연락처, 위치정보, 카메라에 접근하려고 합니다”라는 메시지가 뜰 수 있어요. 이상한 앱이 불필요한 권한을 요청하면 설치하지 말고 삭제하세요.
7. 학교 과제나 발표 자료에도 주의하기
보고서, 포스터, 동영상 과제 등에 집 주소, 전화번호, 얼굴 사진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요. 학교나 선생님이 자료를 인터넷에 게시할 수도 있으니까요.
8. 개인정보가 담긴 물건은 함부로 버리지 않기
시험지, 택배 상자, 성적표 등에는 이름, 주소, 학교 이름이 적혀 있을 수 있어요. 버릴 때는 개인정보 부분을 찢거나 가려서 처리하세요.
9. 로그인 후에는 꼭 로그아웃하기
PC방, 친구 집 컴퓨터, 학교 컴퓨터 등을 썼다면 사용 후 꼭 로그아웃해야 해요. 자동 로그인 설정도 해제하는 것이 좋아요.
10.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 스스로 계속 배우기
뉴스나 학교 수업, 포스터 등을 통해 새로운 개인정보 유출 사례를 알아보고, 어떻게 막을 수 있을지 고민해 보세요.
나만 조심하는 게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에게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