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목표

과제 | 중점 과제 |
세부 추진 과제 |
연차계획 | |
---|---|---|---|---|
2025 | 2026-2027 | |||
교육 과정 운영 |
교육 과정 편성 및 운영 |
▪미래 역량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학생 맞춤형 선택 교육과정 운영 |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개방형 선택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소인수 및 심화과목 개설 운영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다양화 ▪고교학점제 시행 기반 내실화 |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운영 ▪개방형 및 거점형 선택 교육과정 ▪소인수 및 심화과목 원활한 운영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다양화 |
평가 방법의 신뢰성 제고 |
▪서술형, 논술형 평가 내실화 ▪교과별 과정중심 평가 내실화 |
▪과정 중심의 질적 평가 확대 ▪정기고사 관리 철저 지속 ▪서·논술형 평가 교과별 자료 개발 ▪선행학습 금지 평가문제 개발 |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과정중심 평가 실시 ▪통합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행평가 운영 ▪성취평가제도 안정적 정착 ▪정기고사의 공정성·신뢰성 제고 |
|
학력 신장 활동 |
교수 학습 방법 개선 |
▪선진화된 학생 중심 수업 방법 개선 ▪교과 활동 지원 및 자율 장학 활성화 |
▪전 교사 수업 나눔 2회 이상 ▪교육과정과 연계한 전문적학습공동체 활성화 ▪연 4회 이상의 교과협의회 활성화 ▪에듀테크 활용 수업, 협력학습, 거꾸로 교실 등 학생 중심 수업 확대 ▪교원학습공동체 활성화 |
▪교육과정과 연계한 전문적학습공동체 내실화 ▪자율적 수업 나눔 문화 활성화 ▪수업 만족도 제고 방안 마련 ▪학생중심의 창의융합 수업 확대 및 내실화 ▪학생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는 수업 혁신 |
교육 활동 활성화 |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프로그램 내실화 ▪방과 후 교육활동 활성화 ▪독서·토론·논술 교육 활성화 ▪학교 스포츠 활성화 |
▪미래형 STEAM 선도학교 운영 ▪전북미래학교 운영 ▪인문학 아카데미 내실화 ▪독서기반 프로젝트 수업 운영 ▪기초학력보장 프로그램 및 맞춤형 방과후학교 운영 ▪사교육 없는 학교 운영 ▪독서문화 확산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 운영 ▪자율형 공립고 2.0 추진 |
▪미래형 STEAM 운영 안정화 ▪전북미래학교운영 (~26) ▪도서기반 프로젝트 수업 활성화 ▪기초학력지원 프로그램 내실화 사교육 없는 학교 지속 운영 ▪틈새 시간을 활용한 체육활동 활성화 ▪자율형 공립고 2.0 안정적 정착 |
|
인성 지도 |
인성지도 | ▪기본생활습관 지도 ▪인권존중교육 강화 ▪예술감수성 함양 및 창의·인성교육 ▪상담활동 강화 |
▪어울림 프로그램 운영 ▪학생 인권, 교권, 학부모 참여권이 조화로운 학교로 안정적 생활지도 ▪학교폭력예방 교육 강화 ▪학생회 중심의 학생 자치활동 확산 ▪감사 일기 쓰기, Apple Day, 감정약국 운영 ▪위기 학생의 지속적 상담 지원 ▪문화 예술체험 기회 확대 |
▪어울림 프로그램 지속 운영 ▪학생 인권, 교권, 학부모 참여권이 조화로운 학교로 안정적 생활지도 ▪학교폭력예방 교육 지속 및 강화 ▪학생회 중심으로 다양한 행사 및 학생 자치 활동 내실화와 학생회를 통한 학생 자치 능력 강화 ▪위기 학생 지속적 상담 지원 및 상담 활동 확대 ▪예술 감수성 계발을 위한 문화체험 확대 |
진로 지도 |
진로 · 진학 지도 |
▪자기주도적 진로 탐색 기회 부여 ▪‘나의 삶 가꾸기’ 진로 진학 프로그램 운영 ▪대입 설명회 개최 |
▪학년별, 개인별 맞춤식 진로·진학 프로그램 강화 ▪진로·진학연구팀 활성화 ▪진로활동실 상시 운영과 상담예약제 운영, 촘촘한 진로프로그램 운영 ▪각종 대학별 입시설명회 개최 ▪고교학점제연계 진로교육강화 |
▪맞춤형 진로 프로그램 개발 및 내실화 ▪개인별 멘토링 진로·진학지도 체계 구축 및 지속 운영 ▪‘나의 삶 가꾸기’ 진로·진학 프로그램 정착 ▪고교학점제 연계 진로 교육 내실화 |
전북 미래 학교 |
미래 역량 교육 |
▪디지털 교육기반 구축 ▪학생중심 맞춤형교육 |
▪ 리로스쿨 프로그램 정착 ▪ u-클레스 도입 및 활용 ▪학생 글로벌 마이드 함양 지원 ▪ 교원 에듀테크 활용 역량 강화 ▪디지털 교과서 도입 활용 |
▪미래역량 함양을 위한 창의적 교육과정 운영 ▪AI 데이터 기반 학생맞춤형 학습 지원 ▪디지털 전환에 따른 미래기술, 진로체험 지원 ▪ 디지털 교과서 정착 및 활용 |
교육 공동체 및 복지 |
교육 공동체 추진 |
▪학부모회 교육활동 참여 ▪ 인근대학 MOU체결 ▪ 지역사회 협력체제 |
▪학부모회 교육활동 참여 활성화 및 모임 정례화 ▪동창회, 선배 멘토링 활용 추진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활동 추진 ▪국제교류 수업 학교 운영 ▪대학과 진로 연계 MOU체결 |
▪지역사회 연계 네트워크 활동 활성화 ▪학교교육공동체 참여 기회 확대 ▪대학과 진로 연계 MOU 운영 ▪국제교류 수업 학교 추진 지속 |
교육 여건 개선 |
▪교육환경개선 ▪교원업무 환경 개선 ▪학생 안전지도 ▪학교 업무 정상화 |
▪미래형 교육공간 관리 및 활용 ▪급식 질 개선 및 만족도 재고 ▪학생활동 안전 지도 및 안전교육 강화 ▪교육 중심 학교 구조 개편 논의 지속 |
▪미래형 교육공간 관리 및 활용 ▪학생 급식 질 개선 지속 추진 ▪실질적 교원업무 경감 지속 ▪안심할 수 있는 교육환경 및 안전한 학교 조성, 지속 ▪ 교육중심 학교 구조 재편 정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