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계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실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17 하절기 감염병 예방(일본뇌염)
작성자 박시내 등록일 17.07.21 조회수 443

1.

 

일본뇌염 개요 및 예방법

 

 

 

 

구 분

내 용

병원체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감염경로

주로 야간에 동물과 사람을 흡혈하는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감염

- (작은빨간집모기)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모기(4.5mm)

잠 복 기

7-14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감염은 대부분 무증상 또는 발열이나 두통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나, 감염자의 250명 중 약 1명 정도가 심한 증상을 보이며 급성 뇌염, 수막염 등에 이환됨.

뇌염의 경우 경련 또는 성격 변화, 착란과 같은 중추신경계 증상이 나타난 오한과 두통이 심해지면서 고열과 함께 의식 저하와 혼수상태로 진행되것이 전형적인 임상양상으로 약 30%의 치명률을 보임

합병증: 뇌염의 경우 회복되어도 1/3에서 침범부위에 따른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남김

진 단

환자 검체(뇌조직, 뇌척수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항원 또는 유전자 검출

혈청학적 진단: 특이 IgM 항체 양성, 회복기/급성기 항체가 4배 이상 증가

치 료

대증 치료

-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고 호흡장애, 순환장애, 세균 이차감염에 대한 보존적인 치료

환자 관리

환자격리 필요 없음(사람 간 전파 없음)

예 방

예방접종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

 

모기 회피요령

첫째,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둘째,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셋째,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넷째, 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이전글 2017 하절기 감염병 예방(유행성 눈병)
다음글 방학 전 성폭력 예방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