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정신건강 뉴스레터-새 학기 친구관계 돕기 |
||||||||||||||||||||||||
---|---|---|---|---|---|---|---|---|---|---|---|---|---|---|---|---|---|---|---|---|---|---|---|---|
작성자 | *** | 등록일 | 22.03.14 | 조회수 | 176 | |||||||||||||||||||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함열중학교 상담실입니다.
새 학기가 시작되어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 및 지도에 애쓰시지요? 이 시기는 학생들이 새롭게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교우관계를 형성하는 시기이므로 이로 인한 적응적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건강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학부모님들께오서는 교육부와 학생 정신건강지원센터가 제공하는 다음 뉴스레터 내용을 참고하시어 자녀의 새학기 친구관계 적응에 많은 도움 주시기 바랍니다.
새 학기 친구 관계 돕기
1) 청소년기의 우정은 정서적 만족감이나 소속감을 제공하며 학교생활 및 학업에 주는 영향도 크기에, 친구와 갈등이 생기거나 친구가 없는 것에 대해 심리적으로 큰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2) 따라서 자녀가 친구와 보내는 시간을 의미 없는 시간이라 생각하지 마시고, 존중해 주세요. 3) 평소 자녀의 친구들에게 관심을 가져 주시면 좋습니다. 하지만 누구와 친한지, 친구와 어떻게 시간을 보내는지 자세히 이야기하는 것을 불편해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 자녀가 이야기하기 싫어한다면 아이를 다그치기 보다는 그저 부모가 자녀의 생활에 관심이 있음을 표현해 주세요.
1) 입시 위주의 경쟁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신들끼리 성적, 인기, 외모 등에 따라서 서로를 서열화 시키는 모습이 있습니다. 2) 친구 관계에서 동떨어지거나, 서열에서 밀려나 보이는 아이가 무시되거나 배척되기도 합니다. 3) 또래 관계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주변 아이들이 약한 아이들을 괴롭히는 경우 올바른 소리를 내거나 자신만의 가치관을 주장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4) 새 학기에 아이들이 또래 관계에 민감해지고 걱정해지는 것은 정상적인 반응일 수도 있습니다. 때로 아이가 또래 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 잘 들어주기만 하여도 도움이 됩니다. 5) 자녀가 또래 사이에서 따돌림이나 괴롭힘을 겪고 있지 않은지 항상 주의를 기울여 주세요. 만약 학교 폭력이나 따돌림이 의심된다면, 아이 편에서 그동안의 어려움을 공감해 주고, 어떻게 같이 해결하고 싶은지 상의해 볼 수 있습니다. 6) 괴롭힌 아이나 부모를 직접 대면하기보다는, 학교 선생님에게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세요.
가정에서 도울 수 있는 방법 1) 친구에게 인기를 얻고 싶은 마음에서 나온 자연스러운 행동이라는 것을 인정해주세요. 2) 성급하게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과도한 감정을 표출하기보다는 아이의 의견을 들어주세요. ▶ “네가 너무 예민하게 생각하는 거 아니니?”와 같이 감정, 생각, 행동 등을 부인하는 말은 아이의 감정을 혼란스럽게 하고, 점차 감정을 숨기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다 빌려주니까 애들이 너를 무시하지. 앞으로 빌려주지 말고 공부나 해.”와 같은 말들은 자녀에게 부모의 생각을 강요하는 것으로 들려 대화를 중단하게 만듭니다. 3) 아이가 자신을 지키면서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다음을 조언해 볼 수 있습니다. 4) ‘자기 존중감 지키기’를 격려하고 연습하도록 도와주세요.
5) 아이가 대안으로 할 수 있는 행동을 같이 상의해보고, 각각 장단점을 떠올려보게 합니다. 가정에서 도울 수 있는 방법 1) 친구 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아이들은 자신의 부정적인 모습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위축된 태도나 행동이 자신도 모르게 몸에 배어 있기 쉽습니다. 2) 친구에게 자신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에 대해 걱정하는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세요. ▶ “지금 만나는 친구들과 좋은 관계를 맺지 못할까 봐 두려움이 많구나.” ▶ “온라인상에서 만난 친구들이 좋아하고 인정해주는 것이 너에게 위로와 힘이 되었겠구나.” 3) 아이의 생각, 감정을 관찰하고, 귀 기울여 들은 이후 부모님의 의견을 표현해 볼 수 있습니다. ▶ “SNS를 통해 연락해오는 사람 중에는 나쁜 의도를 가진 사람도 있을 수 있고, 그것을 알 수 있는 방법이 별로 없어서 엄마 아빠는 걱정이 된다.” 4) 가정에서 또래에게 하듯이 가벼운 대화를 나누는 연습을 해보고 다음을 조언해 봅니다.
1) 아이가 우울, 자해 및 자살사고를 보일 때 2) 심한 무기력을 보이거나, 가족들하고 대화, 외출 등이 단절될 때 3) 옷 귀중품 등이 이유 없이 망가지거나 없어지는 경우, 멍, 상처가 생기는데 알리지 않는 경우 4) 핸드폰 및 SNS의 과다한 사용으로 일상생활 리듬이 심하게 깨진 경우 5) 온라인에서 알게 된 사람들과 부적절한 만남을 하거나 불법적 거래를 하는 경우 |
이전글 | 제12기 함열중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위원 입후보자 선거 공보(보궐) |
---|---|
다음글 | 2022년 전라북도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사업 및 프로그램 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