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버리는 음식물찌꺼기, 식품의 판매.유통과정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가정과 식당 등 조리과정 중에 식품을 다듬으면서 버리는 쓰레기, 먹고 남긴 찌꺼기, 보관하다가 유통 기간 경과로 그냥 버리는 식품 쓰레기를 의미합니다. ※ 음식물 쓰레기 발생원인 3가지 · 농.축.수산물 도매시장 등에서는 판매와 수송과정에서 먹을 수 없는 부분이 발생됩니다. · 가정, 음식점 등에서 구입한 식품의 훼손된 부분을 다듬을 때 먹을 수 없는 부분이 발생하며, 먹고 남아 버리는 음식물 찌꺼기 등도 발생됩니다. · 식품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유통기간이 지나거나 보관 부주의로 변질된 식품 폐기물이 발생됩니다. ▣ 음식물쓰레기 주요 증가원인 및 구성요소 음식물쓰레기 주요 증가 원인으로는 푸짐한 상차림과 국물 음식을 즐기는 음식문화, 인구증가, 생활수준의 향상, 식생활의 고급화 등으로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합니다. ▣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문제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피해는 단순한 환경문제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해결문제보다는 애초에 발생에 대하여 원천봉쇄해야 합니다. 음식물은 쓰레기 처리 과정뿐만 아니라 생산, 수입, 유통, 가공 및 조리단계에서도 많은 에너지와 비용을 소모하는 에너지 집약체로서, 수입 · 유통 · 조리 시 소모되는 에너지만도 연579만 톤으로 우리나라 최종에너지 소비량의 3%를 차지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또한 연 1,791만 톤을 배출하는 것으로 산정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