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흥남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여름방학 중 해외 여행시 감염병 예방 안내
작성자 김옥진 등록일 17.07.21 조회수 194

학부모님께!

무더운 여름날 가정 내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해외여행 시 즐겁고 건강한 여행이 되도록 여행지에 대한 여행 전·후 주의사항과 질병환경에 대한 내용을 안내를 드리오니 참고하시어 감염병을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여행 전

여행국에 위험요인이 있는지 미리 확인

필요한 예방접종, 말라리아 예방약, 기타 구급약 및 장비 등을 체크하고 필요시 의사와 상의

- 예방접종이 요구될 경우 최소 2개월 전부터 준비

- 말라리아 예방약은 전문 의약품으로 반드시 의사 처방을 받아 최소 일주일 전부터는 복용

여행 중

음식을 먹기 전에는 반드시 비누로 손을 씻고,

비누와 손씻을 물이 없다면 60%이상 알코올을 포함하는 세척gel 사용

야외에서는 긴팔옷, 긴바지, 모자를 착용하고 곤충기피제를 사용

동물에게 물리거나 동물을 통해 전염될 수 있는 질환(광견병이나 페스트 등) 예방을 위해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을 건드리거나 만지지 말 것

만약 물렸거나 할퀴었다면 상처를 비눗물로 세척하고 의사를 찾아 광견병 백신이 있는지 물어볼 것

여행 후

<의학적 검사를 받아야 하는 경우>

만성질환(심부전, 당뇨, 만성호흡기 질환 등)을 앓고 있는 경우

귀국 일주일 이내에 열, 설사, 구토, 황달, 소변이상, 피부질환이 생기는 경우

여행하는 동안 심한 감염성 질환에 노출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

여행하는 동안 동물에게 물린 경우

 

<-말라리아 치료를 받은 경우>

여행 전 항말라리아 치료를 받은 경우 귀국 후에도 같은 치료를 받아야 는지 확인, 귀국 후에도 말라리아 약을 계속 복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음

라리아 위험 지역의 여행 중 혹은 이런 지역의 여행을 마치고 귀국 후(1년까지) 열이 나거나 독감 증상이 생기면 즉시 의사를 찾아가 해외여행을 한 적이 있다고 말해야 함

20177월 최근 해외에서 발생한 감염병 현황입니다.

혹시 이곳으로 여행 시 사전에 보건소를 방문하여 예방접종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나라

해외 감염병 발생 현황[해외여행 질병관리본부 해외 감염병소식지 참고]

일본

(진드기매개뇌염 /일본 /언론보도 ) 북해도에서 사망 사례 보고 (7.12)

*‘17.7 월 초 홋카이도에서 확진 환자 1 (, 70 )발생 사망 (7.11)

* 환자는 6 월 중순 고열, 의식불명 증상 발생

* 발생현황: ’93 1 (사망 1) ’16 1 ’17 1 (사망 1)

* 일본의 진드기매개뇌염 사례는 홋카이도만 보고됨

나이지리아

(E형간염 /나이지리아 /WHO) 북부지역 환자 발생 증가 (7.12)

* 17.5.3~7.2 일까지 Borno 주 북동지역 의심 146명 발생 (확진 21, 사망 2)

* 해당지역은 E 형간염이 유행하고 있는 Niger Diffa 지역 인근 국경지역

* 지난보고대비 변동: 6.28 일 의심환자 53 7.13 일 의심환자 146

* 인구이동, 난민캠프, 제한적 식수공급, 보건 인프라, 비위생적 환경으로 환자 발생

미국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미국 /주보건부 ) Hildale 지역 유행 발생 (7.11)

* Utah Washington 카운티 Hildale 지역 환자 11 명 발생 (사망 2)

* Hildale 지역은 Utah Arizona 의 경계역에 위치

* 발생 현황 (누적 ): 7.3 6 7.7 9 7.11 11

* 증환자 대부분은 어린이로 E. coli O157 검출 , 일부에서 H7 혈청형 확인

* 보건부는 생우유와 다진고기 섭취주의 경고(7.7) 및 감염원 확인 위한 역학조사 중

유럽

(홍역 /유럽 /WHO) 전역에서 유행 발생 지속 (7.11)

 * 16.1 ~‘17.6 월까지 유럽 전역 환자 14,000 (사망 35)발생

*‘17년 환자 최대 발생국은 이탈리아(3,037 ), 루마니아(1,744 ),

독일(741 )순으로, 87%는 홍역백신 미접종자

* 보건 당국은 홍역백신 수급 및 접종 확대 방안 추진

중국

(AI H7N9/중국 /홍콩보건부 ) 환자발생 뚜렷한 감소세 (7.11)

*‘17 27 주차 (7.2-7.8)1 명 추가되어 총 757 명 환자발생 보고

* 7.10 일 보고한 신장 위구르 자치구 발생 사망건

* 최근 5 주 발생변동: 12(6.10)5(6.17)10(6.24)6(7.1)1(7.8)

* 환자현황: 발생 757(홍콩보건부 7.8 기준 ), 사망 268(중국위생위 5.31)

스리랑카

(뎅기열 /스리랑카 /보건부 ) 환자 발생 지속 증가 (7.10)

*17.1 ~7.7 일까지 환자 80,732 (사망 245)발생

* 수도 콜롬보에서 환자 최다 발생 (18,761), 환자의 43%는 서부지역 발생

* 지난보고대비 변동 (누적): 5.2452,0156.2063,9877.1180,732

* 환자 발생현황: ‘1447,502‘15 29,7771655,150

* 보건당국은 추가 의료진, 병상 확보 및 WHO 와 협력하여 대응팀 구축 

이전글 사람 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안내
다음글 교육문화회관 "여름방학 도서관학교" 및 "여름방학 도서관 프로그램"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