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통학버스 교통안전어린이의 교통행동 특성- 어린이는 어떤 하나에 집중하면 다른 것들은 보지 못한다.
- 보이지 않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 잘 보이지 않고, 구석진 곳에서 노는 경향이 있다.
- 모방하려는 성향이 강하다.
- 기분이나 감정이 변하는 대로 행동하는 충동성이 강하다.
- 자동차의 작동원리에 대한 이해와 거리·속도 추정능력이 부족하다.
어린이통학버스 운영자의 역할- 어린이통학버스를 운영하는 자는 어린이통학버스에 어린이나 영유아를 태울 때 동승보호자를 함께 태우고 운행해야 한다.
- 정확한 승하차 시간을 부모에게 알려 운전자가 조급하게 운전하지 않도록 한다.
(통학버스 운행에 있어서도 안전을 위해 여유 있게 운행 시간을 조정한다.) - 길을 건너지 않고 안전하게 승하차할 수 있는 장소를 선정한다.
- 인솔교사나 운전자의 주기적인 교육을 통해 어린이통학버스 사고가 나지 않도록 경각심을 높인다.
- 정기적으로 차량을 점검하여 고장이나 정비 불량으로 사고가 나지 않도록 관리한다.
어린이통학버스 운전자의 역할- 승차할 때
- 어린이가 무단횡단하지 않도록 주의를 준다.
- 통학버스 승차 시에는 한 줄로 서서 안전하게 타도록 유도한다.
- 어린이 승차 후에는 안전을 확인 후 출발한다.
- 운행할 때
- 안전띠를 맸는지 확인하고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 통학버스 안에서는 정숙한 분위기를 유지시킨다.
- 통학버스 안에 어린이를 혼자 두지 않도록 한다.
- 하차할 때
- 통학버스에서 하차 시에는 안전을 확인한 후 차 문을 연다.
- 하차 시에는 반드시 보조교사의 도움을 받으며 내리게 한다.
- 하차 후 출발 전에는 버스 주위를 확인 후 출발한다.
어린이통학버스 인솔교사의 역할- 승차할 때
- 통학버스 주변에서 뛰지 않도록 한다.
- 줄을 서서 차례대로 승차하고 좌석에 안전하게 앉도록 유도한다.
- 승차 전에 아이들 옷맵시를 단정하게 해주고 탑승시킨다.
- 출발할 때
- 안전하게 승차한 후 차량 문을 닫는다.
- 안전띠 착용하는 것을 도와주고 확인 후 운전자에게 출발하도록 알린다.
- 운행할 때
- 반드시 안전띠를 착용하도록 한다.
- 마주 보기 탑승을 가급적 하지 않는다.
- 차창 밖으로 얼굴, 손, 물건 등을 내밀거나 장난을 치지 않도록 한다.
- 잠깐이라도 자리를 비울 때는 어린이 혼자 통학버스에 있지 않도록 한다.
- 운행이 끝난 후에는 차 안 맨 뒷좌석까지 꼭 확인한다.
- 하차할 때
- 차가 완전히 정차한 후 하차시킨다.
- 차 문이 열린 후 오토바이나 자전거가 오는지 뒤쪽을 살핀다.
- 인솔교사가 먼저 내려 안전하게 하차시키고 부모에게 인계한다.
- 어린이가 보도나 길 가장자리 구역 등 안전한 장소에 도착한 것을 반드시 확인하여 운전자에게 알리고 서서히 출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