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영광중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1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 및 학교폭력 예방교육 자료 안내 가정통신문
작성자 군산영광중 등록일 21.10.20 조회수 721
첨부파일

군산영광중학교 학부모님께

안녕하십니까? 학부모님의 가정에 늘 평안과 행복이 함께하기를 기원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 및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관한 내용을 알려드리오니 숙지하시어 소중한 자녀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당부와 협조 부탁드립니다.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 예방과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자녀들과 함께 주지하고 유의해야 할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

1) 가정폭력이란?

가정폭력이란 가정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재산상의 피해를 수반하는 범죄 행위 말합니다. 가족구성원이란 배우자, 전배우자. 사실혼관계에 있는 자, 사실혼관계에 있었던 , 부모, 자녀, 형제자매와 기타 동거하는 친족관계에 있는 자를 모두 포함합니다.

흔히 신체적 폭력만을 가정폭력이라고 생각하지만 형법에 규정된 가정폭력범죄는 상해, 폭행, 유기, 학대, 아동혹사, 체포, 감금, 협박, 명예훼손, 모욕, 수거 . 신체수색, 강요, 공갈, 재물손괴 등이 있습니다.

2) 아동학대란?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 정신적 . 성적 폭력이나 가혹 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합니다.

3) 가정폭력 .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의 역할

아동기의 중요성 인식: 아동기의 가정폭력 . 아동학대는 아동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는 사건으로서 아동의 건강, 발달, 복리에 심각한 영향을 줍니다. 특히, 가정폭력 및 아동학대는 세대 간 전이가 될 수 있습니다.

연령별 아동 특성 이해: 자녀가 가진 능력이나 발달 이상으로 부모의 기대수준에 맞게 행동해 주기를 원하는데, 이처럼 높은 기대는 아동학대의 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에, 다양한 아동발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올바른 자녀양육방법 습득: 아동을 소유물로 생각하지 않고 아동의 권리를 존중하여 체벌과 훈육을 혼동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부모의 스트레스 관리: 부모들은 자신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아동에게 그 불만을 터뜨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정서적 욕구불만을 해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봅니다.

4) 가정폭력 . 아동학대의 유형과 후유증

구분

가정폭력 . 아동학대의 유형

가정폭력 . 아동학대의 후유증

1.

신체적폭력과학대

-밀치기, 때리기, 발로 차는 행위

-떠밀고 움켜잡는 행위

-물건을 사용하여 때리거나 가재도구를 던지고 부수는 행위

-담뱃불로 지지는 행위

-머리채를 잡아당기거나 목을 조르는 행위

-36개월 이하의 영아에게 가해진 체벌 등

-신체적 상처와 신경계의 손상을 일으킴

-정서적 문제, 행동상의 문제, 학습문제 등을 야기함

-다른 사람을 신뢰하지 못하고 버려질 것에 대해 불안해 함

-성인기의 분노와 공격성, 수면장애, 약물중독,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침

-자신의 자녀를 학대할 가능성을 높임

2.

언어,

정서적폭력과학대

-경멸하는 말투로 모욕을 주는 행위

-큰 소리로 소리 지르거나 비난하는 행위

-좁은 공간에 장시간 혼자 가두어 놓는 행위

-잠을 재우지 않는 것

-형제나 친구 등과 비교하는 행위, 차별, 편애

-보호자의 종교행위 강요

-아동이 보는 앞에서 자주 부부싸움을 하거나 배우자를 폭행하는 행위 등

-정서학대는 눈에 보이는 형태의 학대만큼이나 혹은 그 이상으로 아동의 정신건강, 행동발달,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

-특히 유아기의 정서학대는 치명적인 후유증을 겪게 함

-낮은 자아존중감

-의존성, 우울증, 낮은 학업성취, 도벽

-거짓말, 타인에 대한 공격성

3.

방임

-기본적인 의식주를 제공하지 않는 행위

-상해와 위험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하지 않는 행위

-학교 준비물을 챙겨주지 않는 행위

-불결한 생활환경에 장시간 놔두는 행위

-교육을 시키지 않는 행위

-아파도 병원에 데려가지 않는 행위

-문을 잠가놓고 나가는 행위

-방임을 경험한 아동은 일반적으로 수동적이며 사회적으로 위축된 모습을 보이는 경향을 보임

-영유아기 심각한 수준의 방임은 신체의 성장과 인지발달에 치명적 손상을 줌

-방임이 지속되면 사회적 기능, 대인관계, 학업성취 등에서 심각한 손상을 초래

-극단적인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함

4.

성적

폭력과

학대

-원하지 않은 성**를 강요하는 행위

-성적으로 의심하고 모욕하는 행위

-아동에게 성적 수치심을 주는 성희롱, 성폭력 등의 학대행위

-아동에게 음행을 시키거나 음행을 매개하는 행위 등

-자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부적절한 성적 행동, 자아존중감 상실

-성인기에 성학대 피해자, 혹은 학대행위자가 되는 성향이 짙음

-우울, 불안 등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

-성적으로 학대를 받은 다수의 아동과 성인들은 거부, 배신, 공포를 경험함으로써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하게 되기도 함

가정폭력 . 성폭력 신고전화 112

전북서부아동보호전문기관 852-1391

. 학교폭력 예방 교육

1) 학교폭력의 유형: 신체폭력, 사이버폭력, 언어폭력, 따돌림, 금품갈취, 강요, 성폭력 등

2) 학교폭력의 피해 징후

() 갑자기 최근에 안색이 안 좋고 평소보다 기운이 없다.

() 불안한 기색으로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자주 확인하고 민감하게 반응하고 정서적으로 괴로워 보인다.

() 단체 채팅방에서 집단에게 혼자만 반복적으로 심리적 공격을 당한다.

3) 학교폭력의 가해 징후

() 반항하거나 화를 잘 낸다.

() 귀가시간이 늦거나 불규칙하다.

() 다른 학생을 종종 때리거나, 동물을 괴롭히는 모습을 보인다.

4) 학교폭력의 대처방법

() [공감과 지지] “혼자 많이 힘들었겠구나, 지금이라도 이야기해 주어서 정말 고마워, 엄마, 아빠가 어떻게 해줄까상처받은 마음을 위로하기

() [안정감] 감정을 잘 조절하여 자녀에게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며 차분히 대화 이끌기. 다그치기보다는 따뜻한 말로 대화하기

() [자녀에게 원인 찾지 않기] 폭력을 당하는 자녀에게도 원인이 있다는 생각은 하지 않기. 자녀에게 심리적 위축과 자존감을 저해하지 않기

() 학교폭력예방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 담임교사와 주기적인 상담으로 자녀의 학교생활에 관심 갖기

5) 학교폭력 신고방법

() 학교의 담임교사나 학교폭력예방 담당교사, 그 외 교사에게 말하기

() 학교폭력 관련 기관에 전화하기 : 112(범죄신고), 117(학교폭력신고센터), 1388(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1588-9128(청소년폭력예방재단 학교폭력SOS지원단)

6) 학교폭력 연수 및 자료안내

학부모 학교폭력예방 교육<학기당 1> 로나 19에 의하여 사이버연수 권장

- 학부모On누리 누리집(www.parents.go.kr)

[학습마당] : 자녀관계 개선을 위한 어울림 프로그램(5차시)

자녀의 성교육 및 성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 등을 수강(5차시)

학교폭력예방 도움 자료실

- 학교폭력예방 도란도란 홈페이지(http://doran.edunet.net)

- 어울림프로그램 수업자료 http://stopbullying.re.kr/

- 에듀넷 티클리어(http://www.edunet.net사이버폭력예방·정보윤리교육)

- 언어폭력 예방 및 학생언어문화개선 관련 자료(http://kfta.korea.com)

20211020

군산영광중학교장 (직인 생략)


이전글 전라북도교육청으로부터「지원받은 PC 무상유지보수 및 부품수리비 지원」가정통신문
다음글 2021 학교의 민주적 운영 실태 조사 및 학생 인권 실태 조사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