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예방안내
작성자 허윤희 등록일 20.06.30 조회수 391

2020-65

배움과 나눔으로 성장하는 행복한 개정교육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예방안내

교무실 452-6364

행정실 452-6365

http://school.jbedu.kr/gaejeong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최근,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수인성 및 식품매개감염병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치원 및 학교에서는 조리 환경, 조리원의 위생, 올바른 식재료 구입 및 관리 등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각 가정에서도 다음과 같은 위생수칙을 준수 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 위생 및 조리 위생 준수

1. 올바른 손 씻기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 또는 세정제 등을 사용하여 30초 이상 손 씻기

- 외출 후, 화장실을 다녀온 뒤, 기저귀를 사용하는 영·유아 자녀를 돌본 뒤, 조리 전 등

2. 안전한 음식 섭취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조리하여 익혀먹기

비살균 우유, 날 육류 등은 피하고, 소고기는 중심 온도가 72도 이상으로 익혀 먹기

물은 끓여 마시기

채소·과일은 수돗물에 깨끗이 씻어서 벗겨 먹기

3.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도마는 소독하여 사용하기

- 조리도구(채소용, 고기용, 생선용)는 구분하여 사용하기

4. 설사 증상이 있는 경우는 음식을 조리 및 준비 금지

기타 여름 식중독균별 예방요령

병원체

특징

발병시기 및 증상

주요 원인

예방법

1)살모넬라균

토양이나 물에서 장시간생존가능

건조한 상태에서도 생존

발병시기: 8~48시간

증상: 복통, 설사, , 발열

사람·가축분변에 분포

계란·식육류와 그가공품

분변에 직·간접적으로 오염된 식품

계란, 생육은 5이하로 저온에서 보관

조리 기구 및 장갑은 세척· 소독하여 2차오염 방지

75이상 온도에서 1분이상 가열조리

2)장염비브리오균

해수온도 15이상에서 증식

2~5%의 염도에서 잘자라고, 열에약함

6~10월사이에 급증

발병시기: 12시간

증상: 복통, 설사, 구토, 발열

어패류 및 생선회 등

오염된 어패류를 취급한 칼, 도마 등 기구류

어패류는 수돗물로 잘 씻기

조리기구(, 도마 등) 구분 사용하여 2차 오염 방지

오염된 조리기구는 세척·소독 철저히 하기

3)장출혈성대장균(EHEC)

소량(10~100마리)으로 식중독 유발

베로독소를 생성하여 식중독 유발

발병시기: 12~72시간

증상: 복통, 설사, 구토, 발열

사람·가축분변에 분포

분변에 직·간접적으로 오염된 식품

오염된 조리기구에 의해 전처리된 음식물

조리기구(, 도마 등) 구분 사용하여 2차 오염 방지

생닭과 조리된 음식을 구분하여 보관

75이상 온도에서 1분이상 가열조리

4)캠필로박터 제주니

산소가 적은 환경에서 증식

소량으로 식중독 유발

발병시기: 2~3

증상: 복통, 근육통, 구토, 발열, 설사

닭고기와 관련된 식품

도축 도계 과정에서 오염된 생육

소독되지 않은 물

육류는 완전히 익혀서 섭취

손청결유지

닭고기 조리 주의, 음용수의 염소 소독

생닭 세척시 주변에 물이 많이 튀면서 오염될 수 있음으로 세척 시 주변 식품, 기구, 용기를 모두 치우고 사용도구는 반드시 소독

5)황색포도상구균

독소 생성

독소는 가열 하여도 파괴되지 않음

건조한상태에서도 생존

발병시기: 1~5시간

증상: 구토, 복통, 설사, 오심

감염된 상처 고름, , 타월, , 조리기구 등

개인 위생관리 철저

화농성 질환자의 음식물 조리나 취급 금지

위생복, 위생모자 착용 및 청결 유지

6)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포자를형성하는 균으로 가열 하여도 생존가능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존 가능

발병시기: 8~12시간

증상: 설사, 복통, 가벼운증상 후 회복됨

동물 분변, 토양등에 존재

대형용기에서 조리된 국, 스프, 카레 등을 방치 할 경우

가열조리 식품을 실온에 오래 보관하지 않는다.

국 등이 식은 경우 잘 섞으면서 재가열하여 제공

국물 대량조리하고 천천히 식히면 혐기적 조건이 생성되어 균이 증식할 수 있음

2020. 6. 30.

개정초등학교장

 

이전글 신체발달상황 및 시력검사 결과 가정통신문
다음글 코로나19- 대응관리 가정통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