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소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수두 환자 집단발생 예방을 위한 안내
작성자 이미선 등록일 20.07.23 조회수 140

안녕하십니까?

지난 6월부터 전남지역의 어린이집,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수두환자가

집단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수두 발생 감시를 강화하고 발생 시 신속 역학조사

및 환자·접촉자 관리에 철저를 기하고자 아래에 안내해 드리오니 각 가정에서는 학생 건강관리에 협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두(Varicella) 예방자료

병원체

Varicella-Zoster 바이러스(HerpesvirideaDNA 바이러스)

잠복기

021(1416)

특징

- 발열과 전신에 가려움 동반하는 수포가 특징

- 6세 전후에 많이 걸리나 초등학생들 사이에서도 발생

- 한 번 앓은 사람은 영구면역이 생기므로 예방접종 필요 없음

임상증상

- 전구기 : 태감, 미열이 발생, 발진이 발생하기 12일 전에 발생할 수 있음

- 발진기 : 발진은 주로 몸통, 두피, 얼굴에 발생. 24시간 내에 반점(macules).

- 회복기 : 모든 병변에 가피가 형성되며 회복됨

합병증 : 발진부위가 2차 세균감염, 폐렴, 뇌염, 라이증후군 등

감염경로

수포액의 직접접촉·비말·공기전파,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공기전파

전염력이 매우 높아 가족 중에 환자가 발생하면 감수성 있는 가족(백신미접종자)에게 61~90% 전파됨

전염기

(수포) 생기기 12일 전부터 모든 수포에 가피가 형성이 될 때까지

(통증 증상 발생 45일 후)

환자관리

- 수포성 발진이 관찰되면 즉시 조퇴 후 의료기관 진료 의뢰

- 등교중지 기간 : 모든 수포에 가피가 형성 될 때까지

접촉자

관리

- 접촉자(같은 학급 학생, 특히 환자 주변 및 환자와 얼굴을 맞대고 접촉한 학생)는 잠복기간 동안 발병여부 감시하고 호흡기 에티켓 준수 교육

- 건강한 사람 중 과거에 수두를 앓은 적이 있거나 예방접종을 받은

기왕력이 있으면 수두에 대한 면역이 있음

- 수두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사람은 노출 후 3일 이내에 예방접종을

받으면 예방이 가능하며 발병하여도 증상이 경하게 옴

예방접종

- 생후 1215개월에 수두 예방접종 시행

- 12세 미만은 1회 접종, 13세 이상은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

<뒷면도 있어요>

수두 Q&A

1. 수두와 대상포진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수두와 대상포진은 같은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입니다. 사람이 수두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바이러스는 평생 몸 안에 존재하게 되는데, 수두에 걸렸던 사람의 일생 동안 30%에서 대상포진이 나타날 수 있고, 대부분 50세 이상이며 나이가 많을수록 빈도가 증가합니다.

소아에서의 대상포진 발생 빈도는 성인에 비해 매우 낮으며 대상 포진 후 통증도 거의 없습니다.

 

2.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수두가 의심되는 아이에게 노출되었다고 생각이 든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가 수두를 앓았거나 예방접종을 받았다면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아도 되나 그렇지 않다면 노출 후 가능한 한 빨리 예방접종을 실시하도록 합니다. 노출 후 3일 내(5일 이내까지 가능)에 예방접종을 받으면 질병의 예방과 중한 경과를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감염되지 않은 사람도 미래의 질병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3. 수두에 대한 면역 증거가 없는 성인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면역의 증거가 없는 1970년 이후 출생자는 2회 예방접종을 해야 합니다.

면역의 증거는 실험실 검사를 통해 확진된 수두 병력 기록으로 확인되는 수두 백신 접종력 혈청 검사로 확인된 수두 항체가 있는 경우이며 수두바이러스에 면역력이 없는 다음 사람은 예방접종을 하여야 합니다.

학생, 의료인, 학교 및 유치원교사, 해외 여행자 등 수두유행 가능성이 있는 환경에 있는 사람이며 수두 이환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 할 수 있는 면역저하자의 가족 및 자주 접촉하는 의료인과 가임기 여성입니다.

 

2020. 7. 21.

 

 

아 산 초 등 학 교 장

이전글 [중앙방역대책본부] 코로나19 '잘못된_올바른 마스크 착용법' 안내
다음글 치아 홈 메우기 안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