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목적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개별적인 필요에 적합한 교육을 실시하여 잠재된 가능성을 최대한 계발함과 동시에 통합교육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을 기른다.
나. 추진방향
1) 유아가 필요로 하는 적절한 교육과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개별화교육을 실시한다.
2) 적절한 발달행동, 의사소통 및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통합교육을 실시한다.
3) 2024학년도 전북특별자치도 특수교육 운영계획에 기초하여 운영한다.
다. 교육목표
1) 일상생활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는데 필요한 기본생활습관을 기른다.
2) 또래와의 바람직한 관계형성 및 유지 능력을 신장시킨다.
3) 공동체 생활에 필요한 규칙을 알고 지킨다.
교육목표 교육내용 실천활동
기본생활습관 배양 ⦁기본생활 습관 다지기
⦁신변처리능력 키우기
⦁스스로 옷(신발 등) 입고 벗기
⦁스스로 대·소변 처리하기
⦁손 씻기 및 양치하기
⦁사물함 정리하기
또래와의 관계 유지 능력 신장 ⦁친구들과 함께 놀이하기
⦁사회성 능력 신장시키기
⦁친구들과 인사하기
⦁자신의 의사를 적절하게 표현하기
공동체 규칙 알고 지키기 ⦁놀이에 즐겁게 참여하기
⦁바른 식사 예절 가지기
⦁교육활동 시간에 바르게 착석하기
⦁놀잇감 정리하기
⦁식사 도구 바르게 사용하여 식사하기
라. 세부 추진 계획
구분 추진내용 시기 대상
개별화교육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 학기 초
(3월/9월)
 
⦁개별화교육지원팀 협의회  
⦁협의회를 통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 학기 말
(8월/2월)
 
⦁개별화교육계획 평가  
통합교육 ⦁통합학급 적응기간 운영 3월  
⦁연령에 따른 통합교육 운영
연령
구분
만3세 만4세 만5세
장애영역 발달지체
통합형태 수준에 따른 부분·완전통합
통합기간 2024.3.~2025.2.
통합내용 자유놀이 및 누리과정 활동
⦁역통합 활동 ‘친구 초대의 날’
- 친구사랑 골든벨
학기 중  
장애인식
개선교육
⦁유아 장애이해교육 운영
- 장애이해교육 및 장애체험
- 손상예방교육
학기별
1회
 
⦁장애인식개선을 위한 자료 배부 4월  
⦁교직원 사회적 장애인식개선교육
직무연수 연 1회 1시간 이상
연중  
치료지원 ⦁유아별 치료지원 신청 및 협의 3월  
⦁치료지원 계획서 요청 3월 유관기관
⦁치료지원 기관 서비스 제공 기록지 관리 연중 유관기관
⦁치료지원 서비스 결과 보고 익년 2월 부안
교육지원청
마. 기대효과
1) 특수교육대상 유아가 개별적인 필요에 따라 적합한 교육을 제공받음으로써 잠재된 능력을 계발하고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2) 특수교육대상 유아가 통합교육에 참여함으로써 적절한 발달행동과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여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