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회의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전주풍남초등학교

◈ 회의진행 순서
1. 개회 선언
(1) 정족수 확인:개회 시간이 되면 부회장은 참석 회원 수를 확인하여 회장에게 보고한다. (정족수 : 회의 의결에 필요한 회원 수)
(2) 개회 선언:회장은 참석 회원 수가 의사 정족수에 이르렀다 는 보고를 받으면, "지금으로부터 제○차 ○○회의를 개회하겠습니다."라고 개회를 선언한다.
- 정족수가 부족할 때에는 의장은 유회를 선언한다. (유회 : 회의를 하지 않음)
2. 국민 의례
(1) 의식 순서는 국기에 대한 경례, 애국가 제창 순으로 진행한다.
3. 회장 인사
(1) 회장은 짧게 인사말을 한다.
4. 보고 사항
(1) 지난 회의록 낭독
① 기록을 맡은 부회장은 지난 주 회의 결과를 기록한 내용을 낭독한다.
(2) 각 부서장 보고
① 각 부서의 부장은 각 부가 계획하여 처리한 사항을 보고한다.
② 부장은 지난 주 계획을 실천할 때, 반대했던 소수 의견도 같이 보고한다.
5. 의안 보고 및 채택
회의에서 처리할 의안을 보고하거나 새 의안을 채택하는 순서이다. 우리 학교는 각 주별로 주생활 목표가 결정되어 있으므로 새로운 의안을 보고하도록 한다.
6. 실천사항 심의
(1) 주생활 목표에 알맞은 실천사항을 제안한다.
(2) 제안 설명을 한다.
(3) 제안에 대해 묻고 답한다.
(4) 찬성 반대 토론을 한다.
(5) 표결에 붙인다.
(6) 표결 결과를 발표한다.
7. 폐 회
의장은 회원들로부터 회의시간을 연장하자는 말이 없으면 폐회를 선포할 수 있다.
◈ 회의 예절
1. 사회자 예절
(1) 의견을 말할 수 있는 권리는 여러 사람에게 골고루 주어야 한다.
(2) 남의 의견을 사회자 맘대로 고쳐서 설명하거나 사회자가 말하는 시간이 길면 안 된다.
(3) 어떤 내용의 말을 하더라도 화를 내거나 강제로 중단시켜서는 안 된다. 의견을 낸 사람이 기분 나쁘지 않도록 재치 있게 처리한다.
2. 발언자(의견을 말하는 사람) 예절
(1) 손을 들어 정식으로 말할 수 있는 권리를 얻은 다음에 발표한다.
(2) 혼자서만 말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3) 너무 긴 시간 말하거나 자주 말하지 않는다.
(4) 남의 의견을 존중해야 하며 남이 말하는 중에 참견하지 않는다.
(5) 자기와 다른 생각이나 행동에 대하여 너그럽게 이해한다.
(6) 남의 의견을 부정해서 자기의 의견을 바른 것으로 하지 말고, 더 좋은 의견을 내려는 태도를 갖는다.
(7) 다른 사람이 발표하기 때문에 자기도 무엇인가 발표해야겠다는 의무감(경쟁심) 때문에 자기 의견만이 옳다는 식으로 발표해서는 안 된다.
(8) 자기 의견의 잘못이나 부족함이 지적당할 때 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9) 의견은 요령 있고 예의에 어긋나지 않게 발표한다.
(10) 의견을 발표할 때는 먼저 결론을 말하고, 다음에 그 이유를 조목별로 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나는 지금 제안에 반대합니다. 이유는 첫째로 ~ 때문이고, 둘째로는 ~ 때문이며, 셋째로는 ~ 한 까닭입니다." 하는 것이 좋다.
(11) 의견은 참석한 회원 전체에 대해서 내는 것이나, 항상 의장을 향해서 말해야 한다.
(12) 남이 말하는 내용에 유의하면서 요점을 잘 파악하며 들어야 한다.
(13) 메모를 하면서 남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 내용 파악이 쉽고, 자기가 발표할 때도 실수 없이 말할 수 있다.
(14) 회원은 회의에서 토의될 의제에 대하여 미리 연구하는 것이 좋다.
3. 회의 참가자 예절
(1) 회의에서는 옆 친구들과의 사사로운 이야기들을 피하고 계속 진지한 태도로 참여해야 한다.
(2) 신호, 암호 또는 자기들만 아는 말로 이야기하지 말고 전체를 향해서 묻고 발표하고 대답해야 한다.
(3) 서로 존댓말을 쓰며 남에게 실례가 되는 말이나 행동을 삼간다. 또한 남의 개인생활에 관하여 말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