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3-54호 엠폭스 예방 및 행동수칙 안내
작성자 *** 등록일 23.04.28 조회수 67
첨부파일

질병관리청이 최근 국내의 엠폭스 환자증가함에 따라 위기경보수준을 관심에서 주의단계로 격상하였습니다. 엠폭스 예방 및 행동수칙에 대해 안내하오니 자세히 읽어보시고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엠폭스 질병 개요

구 분

내 용

정의

원숭이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 발진성 질환

발생현황

2급감염병

20225월 이후 엠폭스 비풍토국인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유행하여 감염사례와 발생지역이 확대되었으며, 20226월 국내 첫 확진 사례가 보고됨, 20234월 현재 누적 환자 수 30명임.

병원체

원숭이두창 바이러스(Monkeypox virus)

감염경로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원숭이두창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 다람쥐, 프레리도그와 같은 설치류 및 원숭이 등), 감염된 사람 또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과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으며, 태반을 통해 감염된 모체에서 태아로 수직감염이 발생 가능

- (피부병변 부산물) 감염된 동물사람의 혈액, 체액, -, 점막병변과의 직.간접 접촉

- (매개물) 감염환자의 체액, 병변이 묻은 매개체(린넨, 의복 등) 접촉을 통한 전파

- (비말) , 구강, 인두, 점막, 폐포에 있는 감염비말에 의한 사람간 직접 전파

- (공기)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전파가 가능하나 흔하지 않음

잠 복 기

5~21(평균 6~13)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피로, 근육통 및 요통, 두통, 호흡기 증상(인후통, 코막힘, 기침 등)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보통 1~4일 후에 발진 증상이 나타남

발진은 얼굴, , , , 가슴, 항문생식기 근처 등에서 나타남

- 발진은 대체로 반점부터 시작하여 여러 단계로(반점구진수포(물집)농포(고름)가피(딱지))로 진행되며 초기에는 뾰루지나 물집처럼 보일 수 있으며, 통증과 가려움증 동반하기도 함

* 임상증상이 비슷한 수두, 홍역, , 매독 등과 감별 진단 중요함

* 면역저하자, 8세 미만 소아, 습진 병력, 임신 및 모유 수유자에서 중증도가 높을 수 있음

* 풍토병 국가를 중심으로 발생하는 중앙아프리카 계통 엠폭스의 치사율은 약 10%로 보고됨

전구기(3~5일 간): 전염력이 강한 시기

치 료

대부분 자연치료 또는 대증치료

필요시, 국가 비축 항바이러스제(테코비리마트) 치료 시행

  

2023. 4. 28.

대 덕 초 등 학 교 장


이전글 2023-55호 1,4학년 학생구강검진 안내
다음글 2023-53호 2023학년도 대덕어울림 한마당 운영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