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교육청 위기관리지원단 운영(☎ 239-3457, -3463, -3661) - 학교 요청 시 위기 학생에 대한 정서, 심리 예산 지원 및 컨설팅 2. 긴급 상담 관련 기관 연락처 상담 서비스명 | 지원 내용 | 참여 방법 | 24시간 비대면 117상담 | . 117 전문상담사의 전화, 문자, SNS등 다양한 소통 채널을 활용 . 폭력, 따돌림, 인권침해, 아동학대 등 위기 학생 상담 지원 | . 117로 전화 | 상다미쌤 | . 실시간 모바일 심리상담서비스 (카카오톡 상담) | . 카카오톡 채널 추가(상다미쌤) | 다 들어줄 개 | . 실시간 모바일 상담서비스 | . 다 들어줄 개 어플 다운 .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 1661-5004로 문자 보내기 | 한국 청소년 상담 복지 개발원 (청소년 사이버 상담센터) | .카카오톡 상담(채널명: 청소년상담 1388) | .‘청소년상담1388’카카오톡채널 추가 후 상담자와 1:1 카카오톡 상담 | . 문자상담(#00001388) | .휴대폰 문자메시지 받는 사람에 ‘#00001388’번호 입력 후 고민 내용 발송 | . 채팅상담 | .전문상담자와 1:1 실시간 채팅 상담 | . 게시판상담 | .게시판 글로 고민 상담, 24시간 안에 전문상담자의 답변 글 제공 | . 웹심리검사 | .대인관계, 진로, 성격/정서 등 간단한 심리검사 제공 | . 솔로봇상담 | .간단히 묻고 답하는 게임과 동영상을 통한 고민 해결 | . 이음e 온라인부모교육 | .자녀와 함께 성장하는 부모, 학교폭력예방교육, 다문화 부모교육 제공 | . 고민해결백과 | .고민과 상담자의 답변을 카드 뉴스로 보면서 자기 스스로 상담이 가능한 콘텐츠 | . 청소년 상담(☎1388) | .(유선전화) 국번 없이 1388 .(휴대전화) 지역번호+1388 | 한국상담학회 | . 청소년 및 학부모 대상 전화 및 온라인상담 | .전화 상담(1522-8872) .코로나19 온라인상담 게시판 (http://www.couselors.or.kr) | 한국심리학회 | . 전화 및 온라인상담 | .전화 상담 (070-5067-2619, 2819, 05719) .온라인상담(카카오 채널 검색창에 “코로나 심리상담” 입력 후 채팅 상담) |
3. 상담실 안내 ? 1차 상담: 학교 상담실[위(Wee)클래스 포함] ? 2차 상담: 위(Wee)센터 전주 덕진 wee센터 | 253-9214 | 진북초등학교 후관 1층 | 전주 완산 wee센터 | 253-9523 | 전주초등학교 4동 2층 |
4. 전라북도교육청 마음 건강 증진거점센터 운영 ? 찾아가는 학교 방문가 사업「전라북도교육청 마음 건강 증진거점센터」 병원 치료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학생, 학부모를 위하여 전문가가 학교로 찾아가 정신건강 문제를 진단하여 상담· 치료로 연계하도록 도와주는 마음 치유기관 |
? 운영 기관: 전라북도교육청 병원형 위(Wee)센터 ? 운영 기간: 2023.1.1. ∼ 12.31. ? 대 상: 초·중·고· 특수학교 학생 중 정신건강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학생, 학부모 ? 전라북도교육청 병원형 위(Wee)센터 정서·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고위기 학생에게 상담-진단-전문적 심층 치료와 대안 교육과정 등을 운영하여 건강하게 학교생활로 복귀시키는 대안 교육형 마음 치유기관 |
5. 전라북도교육청 병원형 위(Wee)센터 운영 ? 대상: 전라북도 초·중·고·특수학교 학생(최대 1개월 이내) - 우울증, 정서 불안 등으로 정서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는 위기 학생 - 자살 시도 및 자해 등으로 위기 지원이 필요한 학생 ? 운영 내용: 상담-진단-전문적인 심층 치료, 대안 교육과정 운영 등 ? 운영 기관: 원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입소 기간: 1개월 이내, 1회 연장 가능, 입원 시 300만원 이내 지원 6. 위기 학생 예방 뉴스레터 활용 ? 자살, 자해, 생명 존중 교육 관련 자료 탑재,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