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용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하절기 감염병 예방 안내
작성자 박윤희 등록일 17.07.19 조회수 330
첨부파일

하절기 감염병 예방(일본뇌염, 유행성 눈병) 및 여름방학 동안 해외 여행 등으로 각별히 주의해야 할 사항입니다. 꼭 읽어 보시고 여름철 건강관리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1

 

일본뇌염 개요 및 예방법

 

 

 

 

구 분

내 용

병원체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감염경로

주로 야간에 동물과 사람을 흡혈하는 작은빨간집모기에 의해 감염

- (작은빨간집모기)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모기(4.5mm)

잠 복 기

7-14

주요증상

및 임상경과

감염은 대부분 무증상 또는 발열이나 두통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나, 감염자의 250명 중 약 1명 정도가 심한 증상을 보이며 급성 뇌염, 수막염 등에 이환됨.

뇌염의 경우 경련 또는 성격 변화, 착란과 같은 중추신경계 증상이 나타난 오한과 두통이 심해지면서 고열과 함께 의식 저하와 혼수상태로 진행되것이 전형적인 임상양상으로 약 30%의 치명률을 보임

합병증: 뇌염의 경우 회복되어도 1/3에서 침범부위에 따른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남김

진 단

환자 검체(뇌조직, 뇌척수액 등)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항원 또는 유전자 검출

혈청학적 진단: 특이 IgM 항체 양성, 회복기/급성기 항체가 4배 이상 증가

치 료

대증 치료

-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고 호흡장애, 순환장애, 세균 이차감염에 대한 보존적인 치료

환자 관리

환자격리 필요 없음(사람 간 전파 없음)

예 방

예방접종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

 

모기 회피요령

첫째,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둘째,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셋째,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캠핑 등으로 야외 취침 시에도 텐트 안에 모기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넷째, 매개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집주변의 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에 고인 물을 없애서 모기가 서식하지 못하게 한다.

참고 2

 

유행성 눈병 개요 및 예방법

 

 

 

 

구분

유행성각결막염(EKC)

급성출혈성결막염(AHC)

병원체

아데노바이러스(주로 8, 19, 37)

엔테로바이러스 70

콕사키바이러스 A24 variant

전파

경로

1. 직접 신체적 접촉: 눈 분비물 등

2. 개인용품을 통한 간접 접촉: 수건, 침구물, 세면기구 등

3. 수영장 등 물을 통한전파

발생

현황

산발성유행성

늦여름초가을에 주로 발생

510년 주기로 유행

늦여름~초가을에 주로 발생

잠복기 및

주요

증상

잠복기 : 57

주요 증상

1. 눈곱, 이물감, 눈꺼풀 부종, 양안의 충혈, 동통, 눈물, 눈부심

2. 결막하 출혈

3. 귓바퀴 앞 림프절 종창

4. 34주 지속됨

잠복기: 8시간2

주요 증상

1. 갑작스러운 이물감, 충혈, 눈부심, 눈물이 주 증상

2. 안검부종, 결막부종, 결막여포, 상피결막염

3. 결막하 출혈반이 7090%에서 발생

4. 결막하 출혈은 712일에 걸쳐 점차 흡수됨

5. 귓바퀴 앞 림프절 종창이 있을 수 있음

전염력

발병 2주 정도까지 전염력이 있음

증상발생 후 적어도 4일간 전염력 있음

등교중지

(격리)

격리없이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권장

학생 감염병 예방대응 매뉴얼 참조(p.26)

합병증

각막 상피 하 혼탁이 남아 심해지는 경우 시력저하가 생길 수 있음

결막에 분비된 눈물보조세포나 점액분비세포가 바이러스나 염증에 손상을 입으면서 안구건조증 발생
(보통 6개월 지속)

그 외 영구적인 결막반흔, 눈꺼풀 처짐, 눈꺼풀과 결막의 유착

결막염을 앓은 수 주 후에 사지마비 또는 뇌신경마비가 드물게 일어날 수 있음

* 관련 감염병 : 수족구병

치료

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는 없음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필요 시 염증을 억제하기 위한 안약이나 세균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균제 안약을 점안할 수 있음

이전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안내
다음글 2017유치원 특성과 강사 모집 재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