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귀중학교 로고이미지

급식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학교급식 음식물쓰레기 감량 계획
작성자 *** 등록일 25.04.07 조회수 2

                        학교급식 음식물쓰레기 감량 계획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을 구입, 조리방법, 배식 등 발생단계부터 전 과정을 통해 근원적으로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개선함으로써 학교급식의 질 향상 및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 환경 관련 교육 강화

가정통신문, 급식게시판 등을 이용한 환경 관련 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올바른 식습관 형성 교육

- 음식 골고루 먹기, 배식 시 먹을 만큼 의사표현

- 음식물의 소중함을 알리기 음식 안 남기기

. 음식물 쓰레기 감량배출

급식 인원에 알맞은 적정량의 급식품 구입, 조리, 배식(적량급식이 이루어 지도록 1인당 분량과 학반별 소요량을 정확하게 산정)

식단 개발, 조리 방법의 연구를 통한 학교 급식품의 질 향상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 최대한 제거 후 배출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 수시 점검

. 음식 안 남기기를 위한 활동

남긴 음식량을 조사 분석하고 결과 처리

교직원회의 및 급식소위원회를 통한 잔반안남기기 운동 활동 유도

간행물, 홈페이지 게시판 등을 이용한 교육자료 제공

잔반 없는 날 지정 운영(매주 수요일) : 편식교정 등 잔반 안남기기 지도

급식에 대한 기호도 조사 실시 및 결과 처리

.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교육

환경보존 및 식량자원의 소중함과 절약정신을 일깨워주기 위해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계획을 세워 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급식을 통하여 실제적인 음식물쓰레기 발생의 원인과 문제점을 인식시키고,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자세를 익힌다.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줄이는 방법을 알고, 실천하는 습관을 익힌다.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을 알고 실천함으로 환경보전의식을 기른다.

. 급식생산 단계별 음식물쓰레기 감량방안

급식업무단계

세부활동사항

식단계획

. 급식대상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식단작성

. 잔반량이 많은 음식은 원인을 분석하여 식단계획에 반영

. 비가식부 음식물쓰레기가 많이 나오는 식재료 고려

. 선호도가 낮은 식재료 이용시 선호도가 높은 조리방법 고려

. 메뉴 종류가 많은 경우에는 음식양 감소 고려

. 메뉴 구성시 주반찬이 겹치지 않게 고려

식품발주

. 전처리시 폐기량 고려

. 메뉴구성을 살펴보아 1인 분량 조절

. 양이 많아 잔반이 많았던 식재료 고려

. 정확한 식수인원 파악과 표준레시피를 활용하여 적정 식재료량을 산출

식품구매

. 식품의 선도가 좋고 쓰레기가 적게 발생하는 상태의 식품이나 포장 제품을 구매

. 불필요한 비가식부 고려

. 신선도를 위해 제철식품 고려

식품검수

. 식품별 정확한 검수관리를 실시

. 구매하여야 할 식품내용이 정확하게 기술된 식품규격서에 따라 적합한지 확인하고 선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함

. 유통기한 및 고려온도 고려

. 품질저하시 적절한 반품여부

식품보관

. 선입선출에 의하여 식품을 보관하고 사용

. 보관의 잘못으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요인을 분석

. 품질저하 조건 고려

. 보관시 품질이 떨어지는 식재료 고려

. 저장조건 고려

식품 전처리

. 식품의 신선도와 위생을 고려한 전처리 실시

. 가식부를 최대한 활용

. 조리종사원들에 대한 정확한 전처리 교육 실시

. 전처리된 식품의 품질고려

. 폐기량에 대한 분석

조리

. 맛 유지 고려

. 외관적인 요소 고려

. 조리방법의 다양화 고려

. 시간과 온도 고려

. 급식소 특성에 맞는 표준 조리법을 사용

배식

. 정확한 1인 분량의 배식방법 고려

. 자율배식/부분자율 배식으로 잔반량을 줄임 또는 배식시 먹을만큼 의사 표현

. 교실배식인 경우 가능한 적온급식 고려

퇴식

. 음식물과 이물질분리점검

. 잔반감소를 위한 운동을 지도 및 홍보

. 잔반량을 매일 체크하여 급식생산계획에 참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

. 수분은 줄이고 이물질은 제거하여 배출

. 정확한 양 측정고려

. 1일 평균 급식인원 100인 이상인 집단급식소는 스스로 또는 위탁하여 재활용하거나 감량화 처리를 하여 배출

음식물쓰레기 R&D

. 정확한 잔반량을 쉽게 잴 수 있는 방법 연구

. 전처리되어 들어온 식품의 음식물쓰레기 “zero"화 추구연구

. 급식대상자의 기호를 반영한 조리법 이용여부 체크

. 적온배식 여부 체크

. 잔반처리의 위생상태 체크

. 급식대상자에 맞는 적정제공량 연구

. 음식물쓰레기 감량에 대한 홍보의 적정성 연구

. 잔반감소를 위한 조리종사원 . 학생 . 교직원 교육

. 급식대상자들의 잔반 원인을 조사 . 분석

. 음식물쓰레기 관리 및 처리

 

   * 쓰레기 및 잔반은 가급적 장시간 방치되지 않도록 한다.

쓰레기와 잔반은 각각 쓰레기통, 잔반수거통 외의 다른 곳에 함부로 방치해서는 안된다.

쓰레기 또는 잔반을 장시간 보관시는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보관하고 수거해간 후에는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한다.

쓰레기 처리 장소는 쥐나 곤충의 접근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정기적으로 구충 . 구서작업을 실시한다.

쓰레기 및 잔반은 수거통이 꽉 차지 않게 담도록 하여, 운반 시에 넘치거나 흘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재활용 위탁업체

잔반수거통은 반드시 뚜껑을 사용하며, 악취 및 액체가 새지 않도록 파손 된 부분이 없어야 한다.

쓰레기통 내부와 외부를 중성세제로 씻어 헹군 후, 치아염소산나트륨으로 소독한다. (치아염소산나트륨농도 200ppm)


다음글 4월 영양소식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