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 음식물쓰레기 감량 계획 |
||||||||||||||||||||||||||||||||||||||||||||||||||||||||||||||||||||
---|---|---|---|---|---|---|---|---|---|---|---|---|---|---|---|---|---|---|---|---|---|---|---|---|---|---|---|---|---|---|---|---|---|---|---|---|---|---|---|---|---|---|---|---|---|---|---|---|---|---|---|---|---|---|---|---|---|---|---|---|---|---|---|---|---|---|---|---|
작성자 | *** | 등록일 | 25.04.07 | 조회수 | 2 | |||||||||||||||||||||||||||||||||||||||||||||||||||||||||||||||
학교급식 음식물쓰레기 감량 계획
음식물쓰레기의 발생량을 구입, 조리방법, 배식 등 발생단계부터 전 과정을 통해 근원적으로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개선함으로써 학교급식의 질 향상 및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함. 가. 환경 관련 교육 강화 * 가정통신문, 급식게시판 등을 이용한 환경 관련 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 올바른 식습관 형성 교육 - 음식 골고루 먹기, 배식 시 먹을 만큼 의사표현 - 음식물의 소중함을 알리기 → 음식 안 남기기 나. 음식물 쓰레기 감량배출 * 급식 인원에 알맞은 적정량의 급식품 구입, 조리, 배식(적량급식이 이루어 지도록 1인당 분량과 학반별 소요량을 정확하게 산정) * 식단 개발, 조리 방법의 연구를 통한 학교 급식품의 질 향상 *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 최대한 제거 후 배출 *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 수시 점검 다. 음식 안 남기기를 위한 활동 * 남긴 음식량을 조사 분석하고 결과 처리 * 교직원회의 및 급식소위원회를 통한 잔반안남기기 운동 활동 유도 * 간행물, 홈페이지 게시판 등을 이용한 교육자료 제공 * 잔반 없는 날 지정 운영(매주 수요일) : 편식교정 등 잔반 안남기기 지도 * 급식에 대한 기호도 조사 실시 및 결과 처리
라.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교육 * 환경보존 및 식량자원의 소중함과 절약정신을 일깨워주기 위해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계획을 세워 교육을 실시하도록 한다. * 급식을 통하여 실제적인 음식물쓰레기 발생의 원인과 문제점을 인식시키고,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자세를 익힌다. *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줄이는 방법을 알고, 실천하는 습관을 익힌다. *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을 알고 실천함으로 환경보전의식을 기른다. 마. 급식생산 단계별 음식물쓰레기 감량방안
마. 음식물쓰레기 관리 및 처리
* 쓰레기 및 잔반은 가급적 장시간 방치되지 않도록 한다. * 쓰레기와 잔반은 각각 쓰레기통, 잔반수거통 외의 다른 곳에 함부로 방치해서는 안된다. * 쓰레기 또는 잔반을 장시간 보관시는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보관하고 수거해간 후에는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한다. * 쓰레기 처리 장소는 쥐나 곤충의 접근을 막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정기적으로 구충 . 구서작업을 실시한다. * 쓰레기 및 잔반은 수거통이 꽉 차지 않게 담도록 하여, 운반 시에 넘치거나 흘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 재활용 위탁업체 * 잔반수거통은 반드시 뚜껑을 사용하며, 악취 및 액체가 새지 않도록 파손 된 부분이 없어야 한다. * 쓰레기통 내부와 외부를 중성세제로 씻어 헹군 후, 치아염소산나트륨으로 소독한다. (치아염소산나트륨농도 200ppm) |
다음글 | 4월 영양소식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