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아름유치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영양교육)식품알레르기 알아보기
작성자 *** 등록일 20.12.14 조회수 33
첨부파일

정의
식품알레르기란 어떤 식품에 대해 면역학적으로 일어나는 과민반응입니다.


원인
• 식품 알레르기의 원인 식품은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소아에서는 우유, 계란, 땅콩, 콩, 밀 등이 흔하며 이와 같은 식품이 85∼90%의 식품 알레르기 환자에서 원인 식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한가지 식품에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지만, 여러 종류의 식품에 대해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 가지 식품에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어도 동일한 과(科,family)나 속(屬,genus)에 속하는 다른 식품과 교차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영양관리의 필요성
• 식품알레르기의 치료는 원인이 되는 식품 알레르겐이 체내에 유입되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원인 식품을 식사에서 제외하되 영양필요량을 충족할 수 있도록 그 식품을 영양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식품을 섭취해야 합니다. • 무분별하게 식품을 제한하면 성장부전, 영양결핍 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특정 식품을 제한하는 식사는 의사 등 전문가에 의해 확인된 원인 식품에 대해 시행해야 합니다.


어린이의 식사
식사요법
우유 알레르기의 식사요법- 우유 단백질의 섭취를 완전히 금지하기 위해 우유와 우유가 함유된 식품을 제한 합니다. - 우유는 단백질과 칼슘 등이 풍부한 식품이므로 단백질과 칼슘을 공급할 수 있는 대체 식품을 섭취 합니다. - 영아의 경우 모유를 이용합니다. 모유를 먹일 수 없는 상황이라면 단백질 가수분해 조제유를 사용합니다.

• 계란 알레르기의 식사요법- 알레르기원은 주로 계란 흰자에 포함되어 있으나 노른자의 단백질에 있는 IgE 항체에 의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므로 흰자와 노른자를 모두 제한 합니다. - 계란은 많은 음식의 조리에 이용되기 때문에 조리된 음식을 먹을 때 주의해야 합니다. - 계란을 제한하면서 다른 단백질 급원식품을 적절하게 섭취하지 못할 경우 단백질 섭취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 대두 알레르기의 식사요법- 대두와 대두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제한 합니다.- 대두는 많은 가공식품에 함유되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땅콩 알레르기의 식사요법- 식품 알레르기는 성장하면서 자연 소실하는 경우가 많지만 땅콩 알레르기는 학동기에 접어들어도 80%에서 지속됩니다.- 땅콩과 땅콩을 이용한 가공식품을 제한 합니다.


• 밀 알레르기의 식사요법- 밀가루를 포함한 식품의 섭취를 제한 합니다.- 밀에 들어이는 주요 영양소는 탄수화물, 비타민B1, 비타민B2, 나이아신 등으로 쌀, 보리, 옥수수 등의 대체 식품을 통해 섭취할 수 있습니다.-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식품 라벨을 정확히 읽어야 합니다.


• 어패류 알레르기의 식사요법- 생선은 소아보다는 성인에서 흔한 알레르기 식품입니다.- 생선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모든 종류의 생선을 제한하고, 패류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갑각류와 연체동물 등도 제한해야 합니다. - 어패류는 주된 단백질 급원이므로 육류, 계란, 두부 등 다른 단백질 식품으로 대체하여 섭취 합니다


소아 계란 알레르기 하루식단 


식사관련 Q & A

Q: 우유 알레르기가 있는데 산양분유, 산양유를 사용해도 되나요?

A: 일반적으로 동일한 식품군에서는 유사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교차반응이라고 합니다. 우유와 산양유는 교차반응을 보이므로 대체식품으로 부적절합니다.

Q: 식품 라벨을 항상 읽어봐야 하나요?

A: 알러지원이 있는 식품을 피하기 위해서는 식품 라벨을 읽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식품 라벨은 새로운 식품을 구입할 때 뿐 아니라, 자주 먹는 식품이라도 구입할 때마다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제조 회사에서 사전 경고 없이 식품의 원료를 바꾸었거나, 같은 식품이라도 제조 회사에 따라 사용한 원료가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조개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굴도 먹지 말아야 하나요?

A: 조개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굴이나 가리비에도 알레르기가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각별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1. 대한영양사협회, 임상영양관리지침서 제3판2.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Pediatric Nutrition Care Manual

이전글 (위생교육)유치원 식중독 예방 관리 및 생활방역 매뉴얼
다음글 한우확인검사 결과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