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2반

안녕하세요. 여러분! 항상 건강하고 밝은 우리반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꿈을 키워요 5-2
  • 선생님 : 김한울
  • 학생수 : 남 15명 / 여 11명

역사인물 소개하기 이방원

이름 정승아 등록일 20.10.22 조회수 17

이방원

출생~사망:1367 ~ 1422 

 

 

 이미지 1

조선 제3대 왕 태종(, 1367~1422, 재위: 1400~1418)은 새 왕조 개창기에 많은 공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정도전 등에 의해서 견제되었다. 제1차 왕자의 난을 계기로 재기에 성공한 그는, 그러나 왕위에 오르는 과정이나 왕위에 오른 뒤 계속된 피의 숙청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한편에서 보면 그는 500년 조선조 국가 운영의 밑그림을 완성한 군왕이었다.

고려 왕조의 마지막 기운이 느껴지던 어느 날, 이방원과 정몽주(, 1337~1392)가 술상을 앞에 놓고 자리하였다. 자신의 야망 실현에 걸림돌이 되었던 정몽주를 회유하기 위한 이 자리에서 이방원은 먼저 시 한 수를 읊었다. 우리네 세상살이 중간중간에 부딪치는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이 시를 잠깐 짬을 내어 감상해보자.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서 백 년까지 누리리라

이른바 ‘하여가()’라고 하는 것이다. 정몽주에게 고려 왕조에 대한 절개를 굽힐 것을 권유하면서, 자신의 뜻에 동참하라는 것이었다. 참으로 이방원다운 솔직하고도 직설적인 표현이다. 그러자 정몽주가 이방원이 따라주는 술 한 잔을 받아 들고는 다음과 같이 화답하였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단심가()’라는 제목으로 잘 알려진 이 시구를 통해 정몽주의 고려 왕조에 대한 일편단심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이전부터 정몽주의 마음을 돌리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던 이방원이었기에 더 이상의 설득은 무의미하였다. 그로부터 얼마 후, 이방원은 심복 조영규를 통해 선지교(후에 선죽교로 이름이 바뀜)에서 정몽주를 살해하며, 이로써 새로운 왕조의 건국은 급물살을 타게 되었다.

태조 이성계(, 1335~1408)의 다섯 번째 아들로 태어난 이방원. 그는 대대로 무장을 배출한 이성계 가문의 유일한 문과 급제자로 어려서부터 부친의 희망이었다. 이방원은 정몽주를 처치하는 거사가 성공한 뒤 남은ㆍ정도전ㆍ조준 등 52인과 이성계의 추대를 협의하고, 공민왕비 안씨를 움직여 수창궁에서 즉위하게 하였다. 새로운 왕조의 시작을 연 것이다. 새 왕조를 여는 데 있어 이방원은 중요한 고비마다 그 중심에 있었다.

새 왕조를 개창한 뒤, 아마도 이방원은 부왕의 등극에 절대적인 공헌을 하였고 개인적인 능력이나 중망으로 보아 자신이 후계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세상은 그에게 좌절의 아픔을 주었다.

그에게 닥친 첫 번째 좌절은 태조 초에 이루어진 개국공신의 선정 과정에서 누락된 것이었다. 개국공신의 선정을 주도한 태조는 아들의 공은 인정하되 친자()라는 이유로 공신 선정에서 제외시켰다. 왕자 신분이 되면서 정치적ㆍ사회적으로 누릴 수 있는 특권을 가졌을 것이지만, 개국공신의 선정에서 제외된 것은 그것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를 두고볼 때 이방원에게는 서운한 일이었다. 그래서인지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종이 즉위한 뒤, 그는 자신을 비롯해 방의ㆍ방간 두 형을 개국 1등 공신에 추가로 선정하였다.

이방원은 이후에도 계속 정치에서 소외되며 정도전 등에 의해 견제되었다. 새 왕조가 들어선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392년 8월, 정도전 등이 중심이 되어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 ?~1396)의 막내아들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였다. 방석을 세자로 책봉할 당시 배극렴은 “시국이 평온할 때에는 적자를 세우고, 세상이 어지러울 때에는 먼저 공 있는 자를 세워야 합니다”라고 하여, 이방원을 지지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도 하였으나, 끝내 이방원은 세자 책봉에서 소외되었다. 더하여 정도전은 중국의 예를 들어 모든 왕자를 각도에 나누어 보내자고 청하기도 하였고, 명나라와 외교적이 마찰이 생기자 진법 훈련을 실시하면서 왕자 및 공신들이 거느리고 있는 사병을 혁파하겠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방원을 비롯한 정적들이 보유하고 있는 무력 기반을 약화시키려는 차원이었다. 

나의 생각과 느낌:당당하고 용감한거같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이전글 역사인물 소개하기 안중근
다음글 우리나라 역사 이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