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반

자기 일은 스스로, 서로 서로 도우며,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는 6학년 1반이 됩시다.

서로 사랑하며 즐겁게 배우는 우리
  • 선생님 : 정다혜
  • 학생수 : 남 14명 / 여 12명

한복 소개

이름 서준태 등록일 20.10.16 조회수 11

한복은 한민족 고유의 옷이다 역사적으로 한민족은 고유한 의복을 입었으며 왕과 귀족은 여러복식을 도입해 입으면서 유행을 만들어 내고 격식에 따라 다른 옷을 입기도 하였다. [1] 색이 들어간 천은 관복으로서 각 시대의 왕이 내린 복식금제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띠기도 하였으나 [2] 대다 수의 평민들은 흰색 옷을 즐겨 입었으며 한복의 기본 구성인 치마와 저고리, 바지 등은 변치 않고 오랜 세월 동안 기본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 [3][특징] 한복은 전통 복식으로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기본적으로 활동성을 중시하며 딱 붙는 옷이 아니다 또한 천 자체를 보면 직선형이지만 몸에 입을 경우 곡선이 살아나게 도와주는 미적 특징도 나타나는데 [4][5]이는 주머니가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기모노나 한푸 등 이웃 국가들의 복식과 달리 한복은 저고리와 치마, 즉 상.하의가 분리 [4] 되어 있어 형태상으로 구분된다. 현대의 한복은 보통 조선 시대에 착용했던 한복과 유사성이 크며 명절이나 격식을 갖추는 자리에서 입는 경우가 많다 개량한복은 생활의 편리함을 강조하고 있어 20세기 동안 그 외형이 여러 변화를 겪었다. [6] 한복도 의복이므로 기성복처럼 아주 빠르지는 않지만, 시대의 흐름과 대중의 요구에 따라 색과 소재, 특징 등을 새롭게 접목하며 이러한 시도는 여러 한복 디자이너들에 의해 현재에도 시도되고 있다.조선복식] 남자한복 겉옷 종류 2 : 네이버 블로그Casual HanBok_생활 한복_여자 의상 - 2020 | 여성복, 전통 드레스, 패션 드레스한가위 특집] 다양한 추석 전통놀이...'이 재미에 웃어요' - 중앙일보 

이전글 독일의 자동차 기술
다음글 인도는 왜 손으로 밥을 먹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