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1반

안녕하세요. 여러분! 항상 건강하고 밝은 우리반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선생님 :
  • 학생수 : 남 0명 / 여 0명

화산사진

이름 김은혜 등록일 19.08.30 조회수 24

활화산인 백두산의 화산폭발 징후가 예사롭지 않음.

 

지난 26일 인도네시아 자바섬 메라피화산 폭발에 이어 백두산도 화산폭발을 예고하는 지각 움직임이 시작됐다는 관측이 나옴.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와 이정현 과학교육연구소 교수는 

한국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에서

최근 백두산 천지 아래 2~5km 지점 화산지진대를 연구한 결과

끊임없는 화산지진이 이어지고 있음

천지주변 외륜산 일대 암벽에서도 균열과 붕괴가 시작

화산폭발 전 잇단 분화 징후가 보이고 있다고 지적.

 


 

 

연구팀에 따르면 백두산은 활화산으로 분화할 경우

그 규모는 지난 4월 유럽 항공대란을 초래했던 아이슬란드 에이야프얄라요쿨 화산폭발력의 10배에 달할 것이라고 강조.

실제로 약 1000년 전 매머드급 화산폭발이 있었고 당시 화산 분출물은 남해를 넘어 일본까지 날아갔다.

여기에 최근 1만7500개에 달하는 인도네시아 섬들이 모인 지각판이 흔들리면서

일본 등 아시아지역 지각판인 환태평양 화산대가 불안한 것도 백두산 화산폭발설 뒷받침.

윤 교수

"(백두산)천지 지하에서 발생하는 잦은 화산성 지진으로 인해

이미 지하 암반에 틈새가 생기고,

그 틈새로 천지에 담긴 20억톤의 물이 흘러내려

지하 마그마와 만날 경우엔

초대형 화산폭발로 이어질 가능성이 충분"

한편 백두산 일대에선 지난 1999년부터 지금까지

모두 3000여 차례의 지진이 발생했고

최근 들어 흔들림을 느낄 정도의 강한 지진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음.

또 지난 9일에는 백두산 자락에 위치한 중국 연변 조선족자치주 안투현에서

규모 3.0에 이르는 지진이 2차례나 발생돼

활화산인 백두산이 폭발하는 것 아니냐는 학계의 우려가 높아가고 있음.

특히 백두산이 만약 폭발해 분화할 경우

반경 약 100km 내 광범위한 산사태를 유발한 산불이 일어날 수 있다는 분석.

게다가 천지에서 부는 편서풍의 영향으로

북한 함경도 일대의 철도, 도로, 전기, 수도 등 모든 제반시설은 불바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

 또한 미세 화산재가 한반도 전역을 덮쳐 호흡기 질환은 물론 생태계 전반이 상당한 피해를 입을 것으로 보임.

이에 대해 윤 교수

"(백두산)화산폭발 시기를 정확히 예상할 순 없으나 정밀한 조사와 관측이 필요할 때"

 


 
 

 

 http://photo.media.daum.net/photogallery/foreign/world_0803/view.html?photoid=2892&newsid=20101028181811775&p=khan

이전글 비밀글 백두산화산폭발
다음글 사쿠라치마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