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5반

전주화산초등학교 6학년 5반입니다.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우리
  • 선생님 : 오은정
  • 학생수 : 남 13명 / 여 11명

우리말을 사용하자

이름 김시은 등록일 23.07.10 조회수 18

요즘 줄임말,욕설,외래어 등을 많이 사용합니다. 우리 동네 간판 이름은 외래어,줄임말,신조어 등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초등학생들도 욕설,줄임말,외래어 등을 사용합니다.


첫번째, 욕설의 뜻을 모르고 사용하는 청소년들이 많다고 합니다.

시발의 뜻은 씹하다(성관계)와 팔다가 합쳐진 씹팔에서 변형된 말로 성적으로 모욕감을 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병신은 신체의 어느 부분이 온전하지 못한 기형이거나 그 기능을 잃어버린 상태 또는 그런 사람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욕설들이 이런 뜻을 가지고 있는 것 처럼 대부분의 욕설들이 성적이거나 어떤 특정 대상을 비하하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설을 써서 대화를 하면 상대방의 기분이 나빠져 큰 싸움으로 번질 수 있고, 욕을 듣는 상대방의 인격이 모독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욕설을 쓰는게 습관이 되어서 욕설을 못끊게 될 수도 있습니다.


두번째, 상당수 학생이 휴대전화 메세지나 SNS, 인터넷 채팅창, 온라인 게임상에서 빨리 타자를 치기 위해 줄임말을 쓴다고 답했습니다. 또는 표준 단어보다 이해하기 쉽고 재밌다는 이유로 줄임말을 쓰는 청소년도 있어요. 줄임말은 이를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사이의 의사소통을 크게 방해하며 언어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엇보다도 어른들에 대한 예의를 표하는 언어들이 줄임말을 통해 사라져가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요.

 

세번째, 외래어를 사용하면 우리말이 점점 잊혀질 것 같습니다. 요즘 우리 동네 간판의 이름이 거의 외래어,줄임말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초등학생,청소년들도 외래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면 못 알아듣는 어른들이 대부분입니다. 어른들에 대한 예의를 표하는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외래어를 어른한테서 사용하는 것은 예의가 어긋나는 말입니다.

 

이렇게 우리가 욕설,외래어,줄임말 등을 줄여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이제 한걸음 한걸음 나아서 우리말을 사용하면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은 마음은 더 좋아집니다.우리말을 사용하면 어른들도 잘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욕설,줄임말, 외래어를 안하기는 어렵겠지만, 우리말을 사용하는 습관을 가집니다. 이제 우리말을 사용합니다!

 

 

 

 

 

 

 

이전글 미술작품 감상활동-패들렛
다음글 외국어 대신 고운 우리말을 사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