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화산초등학교 6학년 5반입니다.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합시다 |
|||||
---|---|---|---|---|---|
이름 | 소지환 | 등록일 | 23.07.10 | 조회수 | 19 |
요즘 우리반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의 많은 사람들이 신조어나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외래어나 신조어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어째서 바람직하지 않은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신조어, 외래어는 알아듣기 쉽지 않습니다. 신조어는 굉장히 빠르게 변화하기 때문에 잘모르는 사람은 알아듣기가 쉽지 않습니다. 뜻을 유추할수 있는 것도 있겠지만 유추하기 쉽지 않은 것 들은 뜻을 아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우리 동네 간판 이름 실태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동네 간판 수의 약 76%가 외래어와 신조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런 간판들을 보면 뜻을 알기 쉽지 않습니다.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꾼다면 쉽게 알아 들을수 있고 정감이 가기 때문에, 우리 말로 바꾸는 것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둘째, 뜻을 잘 알지 못하는 신조어나 비속어등을 사용 하면 갈등이 생길수 있습니다. 앞에서 말했다시피 신조어는 알아듣기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뜻을 잘 알지 못하고 친구를 따라서 사용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살펴볼수 있습니다. 이렇게 뜻을 알지 못 하고 사용한다면 상황에 맞지 않거나 기분이 나쁠수 있는 단어를 실수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갈등이 생긴다면 기분이 나쁠수 있는 단어를 사용한쪽은 그쪽대로 억울하고 단어를 들은 쪽도 기분이 나쁘기 때문에 뜻을 알기 쉬은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해서 이런 갈등을 줄일 수 있겠습니다. 셋째, 어휘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에서는 교육과정에 따른 공부이외에도 교육과정 외에 친구들과의 대화로 사회성을 키우려는 목적 또한 있습니다. 하지만 어쩔티비나 안물안궁같이 뜻없이 말을 막는 신조어들을 많이 사용할 경우 친구들과의 대화를 통해 사회성을 키우기 힘듭니다. 어휘력이 부족할 경우 글쓰기와 같은 여러 다른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친구와의 관계도 나빠질수 있습니다. 넷째, 우리말이 파괴됩니다. 우리말은 우리 조상님들과 함께 우리 역사를 함께 해 왔습니다. 하지만 우리말을 파괴하는 외래어와 신조어 등으로 원래의 우리말이 많이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이것을 우리 말이 변화하는 과정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사실은 우리말을 파괴하는 행동입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우리 말을 단순히 재미 때문에 파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신조어는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고 고운 우리말로 충분히 대체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하는 것이 나와, 우리 말에게? 바람직한 행동이라고 생각됩니다. 앞으로는 신조어나 외래어 보다는 고운 우리말 사용으로 나 자신과 우리말 모두를 지키는 것이 어떨까요? |
이전글 | 우리반 언어 사용실태 |
---|---|
다음글 | 우리동네 간판 실태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