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6학년 5반 어린이 여러분!
서로 다른 우리가 만났지만 그 다른 점을 존중하고 배려하면서
1년동안 행복한 학교 생활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봅시다 :)
신조어나 줄임말과 같은 말을 줄이자. |
|||||
---|---|---|---|---|---|
이름 | 이하연 | 등록일 | 20.07.16 | 조회수 | 64 |
요즘 최근에 10대미만의 초등학생들도 쉽게 신조어나 줄임말을 쉽게 사용하는것을 볼수있는데 혹시 아셨습니까? 이러한 현상에 대해 교육전문가들은 "어릴적부터 단어나 문장을 소리나는데로 적거나, 편의대로 말을 만들어 쓰는습관에 실들여지다보면 점점 맞춤법실력과 어휘력수준이 낮아지게 된다" 라고 할정도로 우리의 편한 언어로 인해 문제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언어를 줄여야 하는 이유를 보고 깨달으면 좋겠습니다. 첫째, 키자니아에서 같은 기간동안 초등학생자녀를 둔 학부모 111명에게 "신조어,줄임말 사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라는 주제로 조사한 결과 63%는 소통의단절과 세대차이를 느끼고 21%는 심각한 우리말 훼손현상을 안타깝게 생각하는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불어 "자녀의 부적절한 언어 사용시, 어떠한 반응을 보이겠는가?라는 질문에서도 33%는 강경한 태도로 혼내거나 훈육하겠다. 라고 답해 어린자녀들의 올바르지 못한 언어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걱정을 다시한번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둘째, 2016년 9월 중고생 4809명을 대상으로 줄임말 및 신조어 사용 실태조사 결과 줄임말을 사용하는 이유 중 1위는 친구들이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8% 였으며 2위는 긴문장을 적은것이 귀찮다는 응답이 25%였다. 그러므로 SNS는 줄임말을 빠르게 확산시키고 사용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언어문제로 인해 구세대들은 이런 신조어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경우가 많습니다.주부이모(55,부산시 해운대구)씨는 "요즘 애들이 쓰는 말들을 다 이해하기가 힘들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2016년 스마트 학생복 조사에서 신조어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고쳐나가야 한다는 응답은 58%(2708명)였으며 반대로 어느정도 문화로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응답은 27%(1312명)이였습니다. 이처럼 신조어의 사용을 계속하게 된다면 우리 한국말의 문화는 잊혀갈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은 신조어, 줄임말 과 같은말을 줄여야 합니다. |
이전글 |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하자 |
---|---|
다음글 | 신조어, 줄임말을 줄입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