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의 제목, 번호, 조회수, 작성자, 등록일, 내용, 첨부파일 등을 나타내는 표

칠지도

이름 이학현 등록일 22.09.30 조회수 107

발견[편집]

이소노카미 신궁에서 ‘육차모(六叉?)’라는 명칭으로 전해져 내려오다가[1] 1873년 신궁의 궁사에 의해 명문이 발견되었고, ‘칠지도’로서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다.[2]

형태[편집]

전쟁 기념관에 전시 중인 칠지도 복제품

74.9 cm 중 칼날 부분이 65cm이고 나머지는 칼자루다. 칼 좌우로 3개씩 가지가 뻗어있으며 주 몸통과 더불어 7개의 가지로 보고 칠지도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에서는 이 때문에 이 칼이 실제 전투용으로서보다는 의식용으로 보고 있다.[3]

내용[편집]

1977년과 1978년에 찍은 확대 근접사진과 1981년 NHK에서 촬영한 X-레이 사진을 통해 보면 年(연)자와 月(월)자 사이에 十(십)자가 검출되어 그동안 五月(5월)로 보았던 명문을 十一月(11월)로 볼 수 있게 되었다.[4]

학자 마다 다르게 해석하고 있지만, 대개 앞면과 뒷면에 새겨진 명문(銘文)은 다음과 같다.

앞면
소스 이미지 보기
이전글 다음글을 나타내는 표
이전글 경주 석굴암
다음글 신라 문무대왕릉 박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