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민지 강수진 강승희 김가은 김민서 김민주 김서희 김세인 김예지 김유림 김유민 김현아 마서경
박지우 백윤서 송도담 이명지 이서영 이수빈 이지민 장세영 최세영 태민정 함수빈 황지영
사랑합니다 ♥
2019년 올 한해, 매 순간마다 간절한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3학년 10반이 되었으면 합니다. '~'
[참고사이트]
* 대입정보포털(4년제) : http://www.adiga.kr
* 전문대학포털 : http://www.procollege.kr
* 메이저맵 : http://www.majormap.net/
9월 추천 도서 |
|||||
---|---|---|---|---|---|
이름 | 김현아 | 등록일 | 19.05.03 | 조회수 | 33 |
첨부파일 | |||||
도서명: 마음 해제: '마음(心)'은 일본의 국민작가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가 쓴 일본 근대문학의 최대 정전(正典)이다. 소세키는 도쿄데이코쿠(東京帝國)대를 졸업하고 국비 유학생으로 2년간 영국 유학을 떠난다. 유럽권의 선진문명은 후진국 청년인 그에게 열등감과 고독감을 가져다주었고 이러한 고뇌가 '자기 본위'라는 문학사상을 형성하는 토대를 이룬다. 도쿄데이코쿠대 교수직을 버리고 전문 작가가 된 것이나, 일본정부가 주는 박사학위를 거부했다는 '나쓰메 신화'는 그의 약력을 말할 때마다 따라다닌다. 게다가 그는 1970년대까지 맥을 이은 다이쇼 교양주의라는 지식인 문화의 산파역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 외국 독자인 우리는 왜 그가 일본의 국민작가가 되었고 어떻게 이 작품이 그들의 정전이 되었는가 하는 점에 흥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즉, 소세키의 신화화와 '마음'의 정전화가 일본의 근대화와 어떤 상관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현재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우리에게는 중요하다. 이 소설은 메이지 시대 말인 1910년대를 배경으로 하여, 도쿄데이코쿠대 학생인 '내'가 서술하는 '선생님과 나' '양친과 나', 그리고 '나'에게 보내는 '선생님'의 서간체 서술인 '선생님과 유서'의 상중하로 구성된다. 재산가의 외아들로 태어난 '선생님'은 청년기에 부모를 잃고 숙부에게 유산마저 사기당하면서 인간에 대한 불신감을 지니게 된다. 자신은 그런 무리와 다르다고 생각하던 '선생님'은 그러나 뜻밖에도 자신 속에 내재된 추악한 이기심을 발견하기에 이른다. 하숙집 아가씨에 대한 사랑 때문에 친구 K와 경쟁한 끝에 결국 그를 자살로 내몰고만 것이다. 그러한 '선생님'의 그늘을 접하면서 한편으로는 그의 사상에 감화된 '나'는 '선생님'의 내면세계를 더 알고 싶어 하지만 '선생님'의 수수께끼와 같은 '마음'은 좀처럼 열리지 않는다. ----------------------서울대 추천도서 |
이전글 | 10월 추천 도서 |
---|---|
다음글 | 8월 추천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