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유치원

즐겁게 놀이하고 서로 배려하며 예쁜 생각이 많은 우리들
  • 선생님 : 기소영
  • 학생수 : 남 11명 / 여 5명

9월 2주 추석

이름 기소영 등록일 19.09.05 조회수 30
첨부파일
9월2주 추석.hwp (2.24MB) (다운횟수:14)

안녕하십니까?

민족의 대명절인 팔월 한가위를 맞이하는 주입니다. 팔월한가위 보름달에 소원도 빌어보시고 보름달처럼 웃음과 풍요로움이 가득한 명절 되시기를 소망하며 9월 둘째 주 교육활동을 안내합니다.

 

추석은 무슨 날일까요?

우리나라의 명절은 서양과는 달리 음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특히 보름달과 연관이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음력 팔월의 보름달은 일년 중 가장 밝은 달입니다.

추석은 한가위’‘ 가위’ ‘가윗날’ ‘중추절’ ‘가배등 많은 명칭이 있습니다. 이 날은 설날, 단오절과 함께 우리나라 삼대 명절의 하나입니다. 추석이 다가오면 들판에는 오곡이 무르익고 과일들도 영그는 때입니다 한해 농사의 결실을 거두는 때이므로 모두들 새 옷으로 갈아입고 햅쌀밥과 송편을 빚어 조상의 산소에 성묘하고 제사도 지냅니다. 서양의 명절과 가장 다른 점이 바로 이것으로 단순히 먹고 즐기는 축제가 아니라 생사가 둘이 아닌 도리를 되새겨 조상님과 후손이 함께 경건하게 치르는 문화였습니다. 만물이 풍성한 한가위 때는 만물이 다 풍성하게 열매 맺는 결실의 계절이므로 예로부터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날만 같아라하는 속담이 있습니다. 신라 유리왕이 왕녀 두 사람을 시켜 여자들을 반으로 나누어 7월 보름달부터 뜰에 모여 베를 짜는데, 을야(9시부터 11시 사이)에 이르러서야 헤어지곤 했지요. 이렇게 하길 8월 보름날까지 하여 그 성적을 평가하여 진편에서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이긴 편을 대접했답니다. 이때 노래하고 춤추며 온갖 놀이를 다했는데 이를 가배라고 했습니다. 가배가 오늘날 한가위라는 뜻의 가위에 해당하는 그 당시 한자의 음차표기로 을을 초추, 중추, 종추 3달로 나누었을 때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어가는 가을의 가운데 즉 중추의 우리말 표기입니다. 한가위이라는 크다라는 뜻과 가위 라는 가운데라는 뜻이 모여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입니다.

 

공지사항

- 102()은 군산서초와 함께하는 <꿈누리 행복 축제>일입니다. 학부모님과 함께하는 꿈누리 행복 축제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9월 초에 계획되었던 학부모 상담은 11월로 변경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안내장 발송하겠습니다.

체육복 입는 날 : 매주 월요일

한 주도 건강하고 유익한 시간되시기 바랍니다.

이전글 9월 3주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
다음글 9월 1주 해상 항공 교통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