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학기 성장평가 계획입니다. 평가의 시기와 평가 내용은 학년교육과정 운영시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5학년 성장평가 계획   1. 국어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2. 작품을 감상해요  | 문학  | 6월3주  | 작품을 읽고 비슷한 자신의 경험을 떠올려 창의적으로 시를 바꾸어 쓴다.  | 경험을 떠올리며 시 바꾸어 쓰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4. 글쓰기의 과정  | 문법  | 6월4주  | 호응 관계가 알맞은 문장을 쓸 수 있다.  | 호응 관계를 이해하고 바르게 고쳐쓰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7. 기행문을 써요  | 쓰기  | 7월2주  | 여정, 견문, 감상이 드러나게 기행문을 쓴다.  | 여정, 견문, 감상이 드러나게 기행문 쓰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2. 도덕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2. 내 안의 소중한 친구  | 자신과의 관계  | 6월3주  | 감정과 욕구를 조절하기 위한 나만의 방법을 찾아 실천한다.  | 감정과 욕구를 조절하기 위한 나만의 방법 찾아 실천하기  | 관찰평가 자기평가  | 1  | 상◎ 중○ 하△  |  3. 긍정적인 생활  | 자연·초월과의 관계  | 7월1주  | 긍정적 태도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습관화할 수 있다.  | 긍정적 태도의 의미와 중요성 알고 습관화하기  | 관찰평가 자기평가  | 1  | 상◎ 중○ 하△  |  
 3. 사회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1. 국토와 우리 생활  | 지리  | 6월3주  | 우리나라 자연재해의 종류 및 대책을 탐색하고, 그와 관련된 생활 안전 수칙을 제시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알아보고 생활 안전 수칙 설명하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2.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 일반 사회  | 7월3주  | 인권침해 사례를 알아보고, 인권 보장을 위한 우리 사회가 노력하는 일을 설명한다.  | 인권침해 사례를 알아보고, 인권 보장을 위한 우리 사회가 노력하는 일을 설명하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4. 수학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3. 규칙과 대응  | 규칙성  | 6월3주  | 한 양이 변할 때 다른 양이 그에 종속하여 변하는 대응 관계를 나타낸 표에서 규칙을 찾아 설명하고 기호를 사용하여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대응 관계를 식으로 나태내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4. 약분과 통분  | 수와 연산  | 7월1주  | 분수를 약분, 통분할 수 있다.  | 분수를 약분, 통분하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6.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 측정  | 7월3주  | 평행사변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추론하고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평행사변형, 삼각형, 사다리꼴, 마름모의 넓이 구하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5. 과학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2. 온도와 열  | 열과 에너지  | 6월3주  | 현상을 관찰하고 대류 현상에서 열의 이동을 설명할 수 있다.  | 기체에서 열의 이동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하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4. 용해와 용액  | 물질의 성질  | 7월2주  | 물의 온도에 따라 용질의 녹는 양이 달라짐을 실험할 수 있다.  | 물의 온도에 따라 물질이 녹는 양 비교해 보기  | 관찰평가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6. 실과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핵심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1. 안녕? 새롭게 만나는 나  | 인간 발달과 가족  | 6월3주  | 아동기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의 특징 및 발달의 개인차를 알아 자신을 이해한다.  | 자신의 발달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하기  | 관찰평가 지필평가  | 1  | 상◎ 중○ 하△  |  3. 똑소리나는, 나의 생활자원 관리  | 자원 관리와 자립  | 7월1주  | 쾌적한 생활 공간 관리의 필요성을 환경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올바른 관리 방법을 계획하여 실천한다.  | 쓰레기를 바르게 분리 배출하는 방법을 알고, 실천하는 태도 기르기  | 지필평가  | 1  | 상◎ 중○ 하△  |  
     7. 체육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핵심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1. 건강  | 건강  | 6월2주  | 담배와 술이 건강에 해로운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담배와 술이 건강에 해로운 이유 설명하기  |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2. 도전  | 도전 활동  | 6월3주  | 거리 도전 활동의 기본 기능을 익혀 도전 상황에서 수행할 수 있다.  | 바른 자세로 멀리뛰기 도전하기  | 관찰평가  | 1  | 상◎ 중○ 하△  |  
   8. 음악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핵심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1. 파릇파릇, 음악이 자라요  | 표현  | 6월2주  |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을 한다.  | 악곡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 하기  | 관찰평가  | 1  | 상◎ 중○ 하△  |  2. 첨벙첨벙, 음악과 놀아요.  | 생활화  | 6월3주  | 음악을 활용하여 감사한 마음을 표현한다.  | 음악을 활용하여 감사한 마음 표현하기  | 관찰평가 자기평가  | 1  | 상◎ 중○ 하△  |  
                   9. 미술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핵심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4. 경험을 생생하게  | 표현  | 6월3주  | 인상 깊었던 경험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인상 깊었던 경험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기  | 관찰평가  | 1  | 상◎ 중○ 하△  |  5. 미술 작품을 읽는 즐거움  | 감상  | 7월1주  | 미술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미술 용어를 활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미술 작품의 내용과 형식을 미술 용어를 활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 지필평가  | 1  | 상◎ 중○ 하△  |  
         10. 영어 단원  | 평가 영역  | 평가 시기  | 핵심성취기준  | 평가요소  | 평가 방법  | 횟수  | 평가 기준  |  1. Where are you from?  | 듣기  | 6월2주  | 출신지를 묻고 답하는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있다.  | Listen and Do 대화를 듣고 알맞은 말을 찾아 번호 쓰기  | 관찰평가  | 1  | 상◎ 중○ 하△  |  3. Please try some.  | 쓰기  | 6월3주  | 실물, 그림, 도표를 보고 한두 문장으로 쓴다.  | 나만의 음식 정하고 소개하는 글 완성하기  | 서술평가  | 1  | 상◎ 중○ 하△  |  5. I get up at seven  | 듣기  | 7월1주  | 일상생활에 관한 간단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세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 대화를 듣고 알맞은 그림을 찾기  | 서술(교과서)평가  | 1  | 상◎ 중○ 하△  |  6. Can I take a picture??  | 읽기  | 7월2주  | 쉽고 간단한 표현을 사용하여상황에 맞으며 정확하고 자신 있게 요청할 수 있다.  | Role play로 평가하기  | 관찰평가  | 1  | 상◎ 중○ 하△  |  
 ※ 평가의 시기와 평가 내용은 학년교육과정 운영시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