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3반

전주반월초등학교 6학년 3반

예의와 배려를 아는 정직한 6-3
  • 선생님 : 백영란
  • 학생수 : 남 14명 / 여 6명

이집트

이름 ㅊㅈㅅ 등록일 21.11.02 조회수 51

언제부터 고대 이집트의 역사가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약 6천 년 정도 전 대략 기원전 36세기부터 상이집트, 하이집트로 나뉜 국가가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이집트의 역사가 얼마나 유구한지를 언급할 때 바로 이 시대가 인용된다. 즉 아직 북유럽 끝자락에 매머드가 남아있을 때, 이집트에서는 파라오가 등장하였다 2016년도에는 지금으로부터 무려 7300년 전, 기원전 5316년 무렵의 도시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청동기 시대 원시인 외치가 태어나기 2000년도 전에 이집트에선 이미 도시 문명이 등장하였다.
https://youtu.be/KuRD_qFf0A8 고대 이집트 문명이 하필 거기서 발달한 데에는 나일 강의 특성이 크게 기인했는데, 정기적으로 범람한다는 것이다. 강이 가끔 범람한다는 것이야 비가 많이 오면 당연히 있을 수 있는 전혀 특별한 일이 아니지만 나일강은 '정기적'이라는 것이 중요하다. 범람의 이유는 청나일강 상류 에티오피아 고원지대에 5월에 내리는 계절성 폭우 때문인데, 이런 범람은 9~10월쯤에 나일강 하류 이집트에 도달해 영양소가 풍부한 부엽토, 부식토를 하류 이집트에 가득 옮겨주고 홍수에 잠겼다가 11월쯤부터 다시 드러난 땅은 지력이 매우 높아진다. 이처럼 나일강의 범람시기는 예측이 가능하므로 사람이 사는 곳은 물이 많아져도 닿지 않는 안전한 곳에 만들고, 강물로 인해 잠겨있던 땅에 농사를 지으면 작물이 잘 자라게 된다. 7월에 작물을 수확하면 10월에 다시 홍수가 와서 지력을 보충해주었다. 이처럼 고대 이집트는 농경사회를 이어나가기에 좋은 환경에서 시작되었다.
 

이전글 이탈리아 조사내용 (1)
다음글 스페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