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재난 경보 접수 및 전파(상황반) ?각 학급의 전원 차단(교실) 및 출입문을 개방한다. ?교실 내 학생들은 책상 밑으로 들어가서 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② 대피 지시(1차 지진 파동 종료시) ?대응 조직을 가동한다.(안내·유도반, 응급구조반) ?학급별 출입문 쪽 학생부터 순서대로 복도에 정렬한다. ?담임교사(교과담당교사) 통제하 순서에 의거 신속하게 정해진 대피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 다른 학급과 섞이지 않도록 대피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대피 - 대피시 앞사람(학급) 추월 금지, 침착, 질서 유지 - 방석이나 가방으로 머리를 보호 - 환자와 장애학생 안전 대피 우선 지원 ?층(구역)별 안내교사는 학생 대피 확인 후 마지막으로 대피 장소로 이동한다. ?응급구조반은 응급환자 발생시 지원 가능한 장소에 위치하여 구호 활동을 실시한다. ③ 대피 장소에 도착시 학생 인원 파악 및 라디오 방송 청취 ☞ 라디오 주파수는 참고 사항 참조 ④ 소방 및 응급 복구 활동(소화반, 응급구조반) ⑤ 피해 상황 파악 및 보고(상황반) ⑥ 대피 훈련 종료 후 안전에 유의하여 각 학급별 교실로 이동(안내·유도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