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5년도(현 고1)대입수학능력시험계획
작성자 *** 등록일 22.09.02 조회수 412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

2022. 8.

교 육 부

[대입정책과]

. 추진근거 및 주요경과

추진근거

고등교육법 제34조 및 제34조의5

34(학생의 선발방법) 교육부장관은 입학전형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험을 시행할 수 있다.

34조의5(대학입학 전형계획의 공표) 10조에 따른 학교협의체는 매 입학연도의 2년 전 학년도가 개시되는 날의 6개월 전까지 제1항에 따라 교육부장관이 공표하는 사항을 준수하여 입학전형에 관한 기본사항(이하 대학입학전형기본사항이라 한다)을 수립·공표하여야 한다.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35조 및 제36

35(입학전형자료) 대학(교육대학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장은 법 제34조제1항에 따라 입학자를 선발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 법 제34조제3항에 따라 교육부장관이 시행하는 시험(이하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 한다)의 성적, 대학별고사(논술 등 필답고사, 면접·구술고사, 신체검사, 실기·실험고사 및 교직적성·인성검사를 말한다)성적 등 교과성적 외의 자료(자기소개서는 제외한다) 등을 입학전형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36(대학수학능력시험시행 기본계획) 교육부장관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배점, 성적통지, 시험일정 등을 포함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시행 기본계획을 작성하여 시험을 실시하는 해의 331일까지 공표하여야 한다.

주요경과

(’18.8.17.)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 개편 방안 발표

(’19.1.7.) 2022학년도 수능 체제 개편 관련 연구(평가원)

(’21.11.18.)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개편된 체제 첫 적용)

. 기본계획

기본방향

·이과 통합을 지향하는 2015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특성을 충실히 반영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실시로 고교 교육의 정상화 도모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별도 발표(’24. 3월 예정)

근거: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제45조제3항제2

1. 시험일정

(시험 시행일) 2024. 11. 14.()

(성적 통지일) 2024. 12. 6.()

2. 시험 관리체계

(교육부장관) 대학수학능력시험 총괄 관리

근거: 고등교육법 제34조제3항 및 동법 시행령 제35조제1, 36, 37, 38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시험 시행 공고, 출제, 문제지의 인쇄, 채점, 성적통지 등

근거: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제45조제3항제2

(시도교육감) 시험문제지 인수·운송·관리, 응시원서 접수, 시험 실시 및 감독, 시험 관리 등

근거: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제22조제1항제16·17·18·19

3. 시험영역 및 출제형식 등

시험영역 및 응시과목 선택

(시험영역)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2외국어/한문

(응시과목 선택) 수험생은 한국사 영역을 필수로 응시하고, 한국사 이외의 시험영역/과목은 일부 또는 전부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응시

- (국어·수학 영역) 공통과목과 함께 영역별 선택과목 중 1과목을 선택하여 응시

- (탐구 영역)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계열 구분 없이 자유롭게 선택하여 최대 2과목 응시, 직업탐구 영역은 2과목 응시할 경우 전문공통과목(성공적인 직업생활)과 계열별 선택과목 중 1과목을 선택하여 응시 1과목 응시할 경우 계열별 선택과목 중 1과목을 선택하여 응시

출제형식

객관식 5지 선다형 및 수학 영역은 문항 수의 30%를 단답형으로 출제

영역별 출제 문항수 및 시험시간

국어·수학 영역은 전체 문항 중 공통과목 75%, 선택과목 25% 내외 비율로 출제

교시

영역

문항수

시험시간

비고

1

국어

45

80

공통 75%, 선택 25% 내외

2

수학

30

100

공통 75%, 선택 25% 내외

단답형 30% 출제

3

영어

45

70

듣기평가 : 17문항

4

한국사

20

30

필수(모든 수험생 응시)

탐구(사회과학직업)

과목당 20

과목당 30

최대 2과목 선택

5

2외국어/한문

과목당 30

과목당 40

2외국어 8개 과목 및 한문 중 1과목 선택

4. 성적통지

성적통지표 표기사항

(영역표기) 수험생이 응시한 시험 영역을 구분하여 표기

- 국어·수학·탐구(사회과학직업) 및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선택과목 표시

(성적표기) 한국사·영어·2외국어/한문 영역은 등급만 기재하고, 등급은 원점수를 고정점수 분할방식에 따라 9등급으로 구분 표기

- 이외 시험영역/과목은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기재

(표준점수) 소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 정수로 표기

(백분위) 정수로 된 표준점수에 근거하여 산출하되,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정수로 표기

(등급) 국어 영역, 수학 영역은 공통과목을 이용한 선택과목 점수 조정 절차를 거친 후 등급 부여

< 한국사·영어·2외국어/한문 영역 등급 분할 원점수 >

등급

영역

1

2

3

4

5

6

7

8

9

분할
기준

(원점수)

한국사

5040

3935

3430

2925

2420

1915

1410

95

40

영어

10090

8980

7970

6960

5950

4940

3930

2920

190

2
외국어
/한문

5045

4440

3935

3430

2925

2420

1915

1410

90

< 국어, 수학, 탐구 영역(과목)의 등급별 기준비율 >

등급

1

2

3

4

5

6

7

8

9

기준비율

4%

7%

12%

17%

20%

17%

12%

7%

4%

누적비율

4%

11%

23%

40%

60%

77%

89%

96%

100%

수험번호

성 명

생년월일

성별

출신고교(반 또는 졸업 연도)

영역

한국사

국어

수학

영어

탐구

2외국어/한문

선택과목

화법과 작문

확률과 통계

생활과 윤리

지구
과학

독일어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성적통지표 교부 및 수능성적 온라인 제공

(성적통지표 교부) 시험지구 교육지원청 또는 출신 고등학교를 통해 응시생에게 교부

(수능성적 온라인 제공) 입학전형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각 대학에 지원학생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온라인으로 제공*

* (제공기간) 2024. 12. 6.() 2025학년도 대입전형 마감일

2025학년도 대입전형 마감일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의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2025학년도 전문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의 일정을 따름

5. 부정행위 조치

(무효처리 및 응시자격 정지) 정행위자는 당해 시험을 무효로 처리하고, 다음 연도(‘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응시자격 정지

-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경미한 부정행위자의 경우는 당해 시험을 무효 처리하되, 다음 연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응시자격을 정지하지는 않음

(사실통보) 필요 시 관련 시도교육청과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등에 부정행위자 명단과 수능성적 무효사실을 통보

시험이 무효로 처리되어 성적이 발급되지 않은 학생은 통보 대상에서 제외

응시원서 접수 시 수험생 유의사항(부정행위 간주사항 등 포함)과 위반 시 조치사항 등에 관한 내용을 응시생에게 명확히 고지하고, 이를 응시생이 확인·서명토록 하여 원서 접수단계부터 수험생 주의를 환기

< 고등교육법 제34>

34(학생의 선발방법) 교육부장관은 입학전형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험을 시행할 수 있다.

3항에 따른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사람에 대하여는 그 시험을 무효로 하고, 그 시험의 시행일이 속한 연도의 다음 연도 1년 동안 시험의 응시자격을 정지한다. 다만, 시험의 공정한 관리를 위하여 금지된 물품을 소지 또는 반입하거나 감독관의 지시사항을 지키지 아니하는 등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경미한 부정행위를 한 사람에 대하여는 응시자격을 정지하지 아니한다.
5항에 따라 응시자격이 정지된 사람은 정지기간 동안에는 제3항에 따른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5항에 따라 응시자격이 정지된 사람이 정지기간이 끝난 후 제3항에 따른 시험에 응시하려면 교육부장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20시간 이내의 인성교육(人性敎育)을 이수하여야 한다.

. 추진일정

2025학년도 수능 기본계획 발표 및 시도교육청 등 안내 : ’22. 8. 25.()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 발표(평가원) : ’24. 3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세부계획 공고(평가원) : ’24. 7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 : ’24. 11. 14.()

성적 통지 : ’24. 12. 6.()

붙임1

2025학년도 수능 영역별 문항 수, 시험시간 및 출제범위

구분

영역

문항 수

문항유형

배점

시험 시간

출제범위(선택과목)

문항별

전체

국어

45

5지선다형

2,3

100

80

.공통과목 : 독서, 문학

.선택과목(1) :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공통 75%, 선택 25% 내외

출제과목을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여 출제

수학

30

5지선다형, 단답형

2,3,4

100

100

.공통과목:수학, 수학

.선택과목(1):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공통 75%, 선택 25% 내외

.단답형 30% 포함

영어

45

5지선다형

(듣기 17문항)

2,3

100

70

영어, 영어를 바탕으로 다양한 소재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하여 출제

한국사

(필수)

20

5지선다형

2,3

50

30

한국사를 바탕으로 우리 역사에 대한 기본 소양을 평가하기 위한 핵심 내용 중심으로 출제

탐구

사회

·

과학

탐구

과목당 20

5지선다형

2,3

과목당

50

과목당 30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세계지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17개 과목 중 최대 택 2

직업

탐구

과목당 20

5지선다형

2,3

과목당

50

과목당

30

1과목 선택 : 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 기초,
인간 발달 중 1

2과목 선택 : 5개 과목 중 택1+성공적인 직업생활

2외국어/

한문

과목당 30

5지선다형

1,2

과목당

50

과목당

40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한문

9개 과목 중 택 1

붙임2

학년도별 수능 시험일 및 성적 통지일 현황

학년도

시험일

성적통지일

1994학년도

1: 1993. 08. 20.

2: 1993. 11. 16.

1: 1993. 09. 24.

2: 1993. 12. 18.

1995학년도

1994. 11. 23.

1994. 12. 22.

1996학년도

1995. 11. 22.

1995. 12. 22.

1997학년도

1996. 11. 13.

1996. 12. 07.

1998학년도

1997. 11. 19.

1997. 12. 22.

1999학년도

1998. 11. 18.

1998. 12. 18.

2000학년도

1999. 11. 17.

1999. 12. 17.

2001학년도

2000. 11. 15.

2000. 12. 12.

2002학년도

2001. 11. 07.

2001. 12. 03.

2003학년도

2002. 11. 06.

2002. 12. 02.

2004학년도

2003. 11. 05.

2003. 12. 02.

2005학년도

2004. 11. 17.

2004. 12. 13.

2006학년도

2005. 11. 23.

2005. 12. 16.

2007학년도

2006. 11. 16.

2006. 12. 13.

2008학년도

2007. 11. 15.

2007. 12. 07.

2009학년도

2008. 11. 13.

2008. 12. 10.

2010학년도

2009. 11. 12.

2009. 12. 09.

2011학년도

2010. 11. 18.

2010. 12. 08.

2012학년도

2011. 11. 10.

2011. 11. 30.

2013학년도

2012. 11. 08.

2012. 11. 28.

2014학년도

2013. 11. 07.

2013. 11. 27.

2015학년도

2014. 11. 13.

2014. 12. 03.

2016학년도

2015. 11. 12.

2015. 12. 02.

2017학년도

2016. 11. 17.

2016. 12. 07.

2018학년도

2017. 11. 16.

2017. 12. 06.

2019학년도

2018. 11. 15.

2018. 12. 05.

2020학년도

2019. 11. 14.

2019. 12. 04.

2021학년도

2020. 12. 03.

2020. 12. 23.

2022학년도

2021. 11. 18.

2021. 12. 10.

2023학년도(예정)

2022. 11. 17.

2022. 12. 09.

2024학년도(예정)

2023. 11. 16.

2023. 12. 08.

2025학년도(예정)

2024. 11. 14.

2024. 12. 06.

 

이전글 완산경찰서 아동학대 뉴스레터 18호
다음글 <필독>졸업생 수시 학교장 추천 전형 지원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