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하이텍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제2023-32호) 결핵 및 잠복 결핵 안내문
작성자 최효주 등록일 23.05.18 조회수 75
첨부파일

결핵은 인류 역사상 생명을 가장 많이 위협한 감염성 질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위생 인식의 변화로 인해 과거와는 달리 결핵 환자 수가 현저히 줄어들긴 했으나 여전히 OECD 국가 중 발병률이

1위를 차지하며 꾸준히 환자 수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결핵은 진단 즉시 신고 의무가 있는 결핵예방법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감염병이며 입원 또는 격리 의무가 있고 격리기간은 약 2입니다.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전염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활동성 결핵 환자가 기침 또는 재채기하면 침방울이나 비말(침방울) 핵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된 결핵균에 의해 호흡기를 통해 감염됩니다. 결핵균에 감염되었다고 모두 결핵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이 중 약 5~15%가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하게 됩니다.

결핵의 증상은?

호흡기 증상 : 2~3주 이상 기침, 가래, 객혈, 흉통, 호흡곤란 등

전신 증상 : 발열, 전신 무력감, 체중감소, 야간발한(식은땀), 식욕부진, 소화불량 등

, 신장, 신경, , 척수 등 우리 몸속 대부분 조직이나 장기에서 병을 일으킬 수도 있음

(아랫배, 옆구리 통증, 혈뇨, 요통, 림프절 비대, 반복적인 구토, 두통, 메스꺼움 등)

잠복 결핵이란?

결핵균에 감염되었지만,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로 증상이 없고 타인에게 전염성은 없습니다. 하지만 면역력이 저하되면 언제든지 결핵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약물치료를 받아야 결핵균을 사멸시켜야 합니다.

대표적인 결핵 검사의 종류

흉부 X선 검사 : 활동성 결핵 평가

TST(투베르쿨린 피부검사) : 과거 BCG 접종 이력이 있는 경우 위양성 가능성이 있음

IGRA(인터페론 감마 분비 검사, 혈액) : 잠복 결핵 여부 판단(5세 미만은 권장하지 않음)

결핵의 치료(항결핵제 복용)

1차 약제 : 9~10종의 항결핵제 중 부작용이 적어 먼저 사용하게 되는 약제

2차 약제 : 1차 약제에 비해 효능이 떨어지고 부작용은 심하나 필요할 경우 사용

위의 약제와 함께 리팜핀, 에탐부톨, 이소니아지드, 피라진아미드를 두 달간 매일 복용 후

피라진아미드를 뺀 나머지 3가지 약물을 4~7개월가량 복용

(약 복용 중간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면 약물 내성이 생기거나 증상이 더욱 심해질 수 있습니다.)

결핵의 예방

BCG 예방접종

마스크 착용, 환기,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철저히 지키기, 사람 많은 곳 피하기 등

이전글 (제2023-33호)2023년 전북하이텍고등학교 재구조화 학부모 의견 수렴(예약)
다음글 학교폭력예방사제동행체험학습_전북하이텍고2023-31호